대표이미지

삼성전자, 반도체 힘입어 역대 2분기 최대 매출…77조2000억

삼성전자는 올해 2분기 매출 77조2000억 원, 영업이익 14조1000억 원을 달성했다고 28일 밝혔다. 전년 동기(63조6700억 원, 12조5700억 원) 대비 21.3%, 12.2%씩 증가했다.매출은 역대 최고치였던 올해 1분기(77조7800억 원)보다는 줄었으나 역대 두 번째 기록이자 2분기 기준으로는 최대치다. 영업이익은 2분기 기준 역대 3번째 규모다.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와 중국…

- 2022.07.28 10:29:04
대표이미지

LG이노텍 2분기 영업이익 2899억…전년 대비 90.8%↑

LG이노텍(대표 정철동)은 올해 2분기 매출 3조7026억 원, 영업이익 2899억 원을 기록했다고 27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57.2%, 영업이익은 90.8% 증가했다.회사 관계자는 “스마트폰용 고성능 카메라모듈 판매 호조가 이어지고, 5G 통신용 반도체 기판의 견조한 수요와 생산능력 확대가 실적을 견인하며 전년 동기 대비 실적이 크게 늘었다”며 “차량용 통신모듈, 모터…

- 2022.07.27 16:39:47
대표이미지

LG디스플레이, 2분기 영업손실 4883억…중국 봉쇄에 직격탄

LG디스플레이(대표 정호영)는 27일 매출 5조6073억원, 영업손실 4883억원의 2분기 경영실적을 발표했다.중국 코로나 봉쇄 장기화 영향과 경기 변동성 및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전방산업 수요 위축으로 출하량이 계획보다 적었다. LCD 패널 가격 하락 지속도 실적에 영향을 미쳤다.LG디스플레이는 하반기 OLED를 중심으로 성과를 확대하는 한편, 공급망 이슈에 따른 상반기 출…

- 2022.07.27 15:01:06
대표이미지

삼성전기, MLCC·반도체기판 힘입어 매출 늘려…전년 대비 2.1%↑

삼성전기는 올해 2분기 연결기준 매출 2조4556억 원, 영업이익 3601억 원을 기록했다고 27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1%, 영업이익은 0.6% 증가했다.산업·전장용 MLCC와 고사양 CPU용 등 반도체 패키지기판 매출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실적이 성장했다.사업부문별로 컴포넌트 부문은 산업·전장용 제품의 거래선 다변화 및 수요 확대로 매출이 늘었다. 패키지솔루션…

- 2022.07.27 14:53:28
대표이미지

더존비즈온, 2분기 매출 749억, 영업이익 122억

더존비즈온(대표 김용우)은 2분기 실적공시를 통해 연결기준 매출 749억 원, 영업이익 122억 원을 달성했다고 27일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7.2%, 영업이익은 40.4% 감소한 수치다.더존비즈온은 2분기 견실한 수주 실적에도 불구하고 대내외적으로 인력난, 코로나19 등의 이슈로 시스템 구축이 지연되면서 매출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2분기 정부 지…

- 2022.07.27 10:59:24
대표이미지

SK하이닉스, 사상 최대 분기 매출…판매량 증가·솔리다임 영향

SK하이닉스가 사상 최대 분기 매출을 달성했다.SK하이닉스는 올해 2분기 매출 13조8110억 원, 영업이익 4조1926억 원, 순이익 2조8768억 원을 기록했다고 27일 밝혔다.각각 전년 동기(10조3217억 원, 2조6946억 원, 1조9884억 원) 대비 33.8%, 55.6%, 44.7% 늘었다.분기 매출이 13조 원대를 기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전까지 분기 최대 매출은 지난해 4분기에 기록한…

- 2022.07.27 09:51:35
대표이미지

베스파, 김진수 대표 복귀 후 찬바람 거세졌다

2017년 킹스레이드 흥행으로 유명세를 탔던 게임회사 베스파에 찬바람이 불고 있다. 매출은 2018년 정점을 찍은 후 곤두박질 치고, 급기야 최근에는 직원 급여지급 지연과 권고사직 조치까지 나왔다. 창업자 김진수 대표가 경영정상화를 위해 복귀했지만 상황은 더 살얼음판이다.26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베스파의 사업보고서 등을 분석한 결과, 영업…

- 2022.07.26 08:33:54
대표이미지

[네이버 임원분석] ④ 임원과 직원 사이…연봉 격차 3.6배

네이버 임원과 일반직원의 연봉 격차가 줄고 있다. 최근 2년사이, 일반직원 보수가 40.5% 증가한 반면, 임원 보수는 15.7% 증가한데 그친 영향이다.22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네이버 미등기임원의 평균 급여를 분석한 결과, 2019년 3억5108만 원에서 2021년 4억630만 원으로 2년 새 15.7%(5522만 원) 증가했다.같은 기간 일반직원(임원 제외)의 평…

- 2022.07.22 08:37:42
대표이미지

[네이버 임원분석] ③ 기술에 방점…‘컴공’ 출신 늘고 경영학 줄고

네이버 임원의 대학 전공은 지금의 네이버를 말한다. 기술개발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네이버, 임원들의 전공은 IT 관련학과에 쏠렸다. 반면, 상경계열 학과 비중은 감소세다.20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네이버의 1분기 보고서에 공개된 상근 임원 119명의 전공학과(최종학력 기준)를 분석한 결과, 컴퓨터공학, 전산학, 정보통신공학, 전자전기공학 등 I…

- 2022.07.20 08:34:42
대표이미지

펄어비스, 여성임직원 비율 지속 감소

펄어비스의 여성 임직원 비율이 매년 줄고 있다.19일 데이터뉴스가 펄어비스의 2021년 ESG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여성 임직원 비율이 2년 연속 감소했다.2019년 30.0% 였던 여성 임직원 비율은 2020년 20%대로 떨어졌다. 2020년 28.3%, 2021년 28.1%를 기록하며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이 기간 전체 임직원수는 계속 증가했는데 여성 임직원은 252명, 216명, 262명으로 감소…

- 2022.07.19 08:29:46
대표이미지

[네이버 임원분석] ② SKY·KAIST 편중현상 약화…출신대학 다양…

네이버 임원의 출신학교 중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KAIST 등 빅4 비중이 40%대로 떨어졌다. 특히 KAIST 비중이 크게 줄었다.임원들의 출신학교는 57곳으로 다양해졌고, 해외대학 출신도 13.4%로 많아졌다.18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네이버 1분기 보고서에 공개된 임원 출신학교(최종학력 기준)를 분석한 결과, 상근임원 119명 중 서울대, 연세대…

- 2022.07.18 08:35:21
대표이미지

게임업계, R&D 늘렸다…카카오게임즈, 128% 최고 증가율

게임업계가 1분기 연구개발비를 30% 이상 늘렸다. 카카오게임즈는 전년 1분기에 비해 127.9%를 늘려, 업계 최고 증가율을 기록했다.15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10대 게임사의 분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올해 1분기 연구개발비가 5666억 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4266억 원에서 32.8% 증가했다.10곳 중 9곳이 증가했다.업계 관계자는 "전년 대비…

- 2022.07.15 08:35:09
대표이미지

웹젠, 광고비 717% 늘리고도 실망스런 실적

웹젠이 1분기 광고비를 전년 동기보다 717.2% 늘리고도 실망스런 성적표를 냈다. 매출은 10% 넘게 까먹었고, 영업이익은 40%, 순이익은 33%나 빠졌다.13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주요 10대 게임사의 분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이들의 1분기 광고선전비는 2407억 원에서 2717억 원으로 12.9% 증가했다.웹젠의 광고선전비 증가율이 업계 최고였다…

- 2022.07.13 08:34:46
대표이미지

[네이버 임원분석] ① 직급부활 3년만에 40% 늘렸다

네이버 임원이 2019년 이후 40% 이상 증가했다. 2019년은 네이버가임원 직급을 되살린 해다.13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네이버 1분기 보고서의 임원 현황을 분석한 결과, 네이버의 상근임원은 119명(사내이사 2명, 미등기임원 117명)으로 집계됐다.네이버가 임원 직급을 부활시킨 2019년 1분기 말(84명)과 비교하면, 3년 새 41.7%(35명) 늘었다.같…

- 2022.07.13 08:32:58
대표이미지

넷피아, 창립 27주년…‘음성지문 준비 원년’ 선언

자국어 도메인 서비스로 잘 알려진 넷피아가 ‘음성지문 준비 원년’을 선언했다.넷피아(대표 이판정)는 오는 10일 회사 설립 27주년을 맞아 음성지문등록 준비 원년을 선언했다고 밝혔다.1995년 설립된 넷피아는 고객과 뜻을 함께한 모든 이의 도움으로 ‘인류의 3대 자동교환기’인 ‘95개 국어 모국어도메인 자동교환기’를 개발, 전 세계에 선보였다.이 회사는 또 최근 세계 최초…

- 2022.07.08 13:45:3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