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이미지

AI 사용자 빠르게 증가…5명 중 3명은 AI 경험

지난 4년간 인공지능(AI)이 급속도로 발전하며 이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뜨거워지고 있다.8일 데이터뉴스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부)의 '2024 인터넷이용실태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만 6세 이상 인구의 AI 서비스 경험률은 2021년 32.4%에서 2024년 60.3%까지 증가했다.AI 서비스를 경험한 주 연령층은 40대 이하로 나타났다. 30대(71.6%), 20대(67.9%), 10대(6…

- 2025.04.08 11:41:14
대표이미지

헌혈 인구, 지난해 최저치…10년 전보다 40만 명↓

헌혈에 참여하는 인원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10년 전보다 40만 명이 감소했다.7일 데이터뉴스가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과 대한적십자사의 '2024년 혈액사업 통계연보'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헌혈 참여자 수는 126만4525명으로 전년 대비 2.8%(3만6219명) 감소했다.10년 전인 2014년과 비교하면 169만6095명에서 25.4%(43만1570명) 하락했다.지난해 수치가 집계된 이래 최저…

- 2025.04.07 15:25:20
대표이미지

화학사고 줄었지만 수은 누출 '경고등', 절반이 교육기관서

최근 5년간 국내 화학사고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다만 수은 누출의 절반 이상이 교육기관에서 발생해 주의가 필요하다.7일 데이터뉴스가 국립소방연구원이 발표한 2024 국내 화학사고 통계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화학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는 총 120명(사망 5명, 부상 115명)에 달했다.인명피해를 초래한 주요 사고물질로는 일산화탄소, 황산, 질산, 수산화나트…

- 2025.04.07 13:31:40
대표이미지

'한국' 하면? "K팝, 한식, 드라마 순으로 이미지 떠올라"

한국문화콘텐츠를 경험한 외국인들은 '한국'하면 K팝을 가장 많이 떠올리는 것으로 조사됐다.7일 데이터뉴스가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의 2025년 해외 한류 실태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한류 경험자들은 한국을 떠올릴 때 K팝을 가장 많이 연상시키는 것으로 조사됐다.이번 조사는 해외 26개국(중국, 일본, 대만, 말레이시아 등) 한국문화콘텐츠 경험자 2만64…

- 2025.04.07 10:05:33
대표이미지

3월은 '폭싹 속았수다' 강세…비혼·이별 예능도 눈길

올해 3월 한국인이 가장 즐겨보는 방송영상 프로그램은 넷플릭스 웹드라마 폭싹 속았수다로 나타났다.2일 데이터뉴스가 한국갤럽이 3월 조사한 '2025년 3월 가장 즐겨본 방송영상프로그램'을 분석한 결과, 응답자의 6.9%가 폭싹 속았수다를 가장 즐겨보는 프로그램으로 꼽으며 1위를 기록했다.이번 조사는 2025년 3월 18일부터 20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1003명을 대상으로 진…

- 2025.04.02 13:30:25
대표이미지

[화제의 책] 조직의 효과적인 생성형 AI 활용 안내서

생성형 AI를 조직 차원에서 자신과 동료들의 업무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한 책이 나왔다.테스팅 전문가인 권원일 STA테스팅컨설팅 CEO가 쓴 ‘생성형 AI 업무 활용 정석 – 테스팅 업무 적용편’은 실무에서 파편적으로 쓰이던 방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구체적인 활용법을 제시한다.이 책은 막연한 가능성을 넘어 생성형 AI를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직관…

- 2025.04.02 12:55:46
대표이미지

티메프 여파 여전…온라인쇼핑 거래액 중 이쿠폰↓

이쿠폰서비스 온라인쇼핑 거래액이 전년 대비 대폭 줄었다. 티메프 사태 여파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2일 데이터뉴스가 통계청의 '2025년 2월 온라인쇼핑동향'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2월 총 거래액은 21조616억 원으로 집계됐다. 전년(20조3465억 원) 대비 3.5% 증가했다.도서, 가전, 생활, 식품, 패션식품등의 거래액이 전년 대비 증가하며 성장세를 이끌었다.특히 통…

- 2025.04.02 11:25:05
대표이미지

한국인 10명 중 9명, 동영상 앱 본다…유튜브가 압도적 1위

한국인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동영상 서비스 앱을 활발하게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일 와이즈앱·리테일에 따르면, 올해 2월 국내 스마트폰 사용자 중 동영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앱)을 1번 이상 이용한 사용자는 4841만 명(94.0%)으로 집계됐다.이번 조사는 와이즈앱이 국내 안드로이드 및 iOS 사용자 표본을 기반으로 진행했다. 동영상 서비스 앱에는 치지직, 쿠팡플레이, 인스…

- 2025.04.02 11:03:06
대표이미지

청년 당뇨 적색 신호…8년 새 10만 명↑

청년들 사이에서 당뇨병 환자가 늘고 있다. 8년 새 10만 명이 넘게 증가했다.1일 데이터뉴스가 대한당뇨병학회가 발표한 '팩트시트 2024'를 분석한 결과, 청년(19~39세) 당뇨병 환자는 2014년 18만3928명에서 2022년 30만7965명으로 67.4%(12만4037명) 상승했다.연령별로 30~39세가 22만8005명으로 전체(30만7965명)의 74.0%를 차지했다. 19~29세는 7만9960명으로…

- 2025.04.01 17:29:53
대표이미지

국세 수입 2.9조 늘었지만 '세수 결손' 우려 공존

2월까지의 국세 수입이 전년 대비 3조 원 가까이 늘었지만, 부진한 세수 진도율에 세수 결손이 또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1일 데이터뉴스가 기획재정부의 '2025년 2월 누계 국세 수입 및 현황'을 분석한 결과, 2월 누계 국세수입은 61조 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2조9000억 원 증가했다.각 분야별로는 ▲소득세 +2조70000억 원 ▲부가가치세 -7000억 원 ▲법인세 +7000억 원 ▲…

- 2025.04.01 14:11:17
대표이미지

필라테스 피해구제 신청 매년 증가…폐업 피해 80%는 ‘처리 불가’

최근 4년간 필라테스 소비자 피해구제 신청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폐업으로 인한 피해 대부분이 해결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일 데이터뉴스가 한국소비자원이 접수한 필라테스 소비자 피해구제 사건을 분석한 결과, 2021년부터 2024년까지 3년새 피해는 56.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 보면 2021년 662건, 2022년 941건, 2023년 1021건을 기록해 지난…

- 2025.04.01 14:08:30
대표이미지

국내 편의점 앱, 다운로드수 1위는 우리동네GS

국내 편의점 앱 시장이 2021년 이후 급성장했다. 우리동네GS가 다운로드 수와 활성사용자 수에서 선두를 지키며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1일 센서타워 앱 퍼포먼스 인사이트에 따르면, 한국 시장에서 편의점 앱의 연간 다운로드 수는 2021년 약 160만 건에서 2022년에는 600만으로 약 4배 가까이 급증했다. 이후 2024년까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지난 5년간 한국 편의점 앱 시장에…

- 2025.04.01 10:35:25
대표이미지

케이뱅크 원 체크카드, 출시 6개월 만에 KB국민 노리2 제쳤다

케이뱅크의 원(ONE) 체크카드가 KB국민의 노리2체크카드를 제치고 인기카드 1위에 올랐다.1일 데이터뉴스가 카드고릴라의 '2025년 1분기 인기 체크카드 톱 10' 자료를 분석한 결과, 케이뱅크의 ONE 체크카드가 인기순위 1위에 올랐다.이번 집계는 1월1일부터 3월23일까지 카드고릴라 웹사이트(PC, 모바일 통합)에서 집계된 각 체크카드 상품조회수 및 신청전환수를 기준으로…

- 2025.04.01 10:08:47
대표이미지

“학생·사무직 절반 이상 사용”…생성형 AI 경험자 2배 급증

국내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 이용 경험자가 1년 새 두 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31일 데이터뉴스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2024 인터넷이용실태조사'를 분석한 결과, 챗지피티(ChatGPT), 달리(DALL·E), 코파일럿(Copilot) 등 생성형 AI 서비스를 경험해봤다는 응답 비율은 2024년 33.3%로 집계됐다. 2023년 17.6%에서 15.7%p 증가했다.직업별로…

- 2025.03.31 13:49:41
대표이미지

2월 한국 영화, 관객 427만 명 사라졌다

지난 2월 한국 영화 업계가 부진한 성적표를 냈다.31일 데이터뉴스가 영화진흥위원회의 '2025년 2월 한국 영화산업 결산'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2월 한국영화 관객 수는 270만 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61.3%(427만 명), 매출은 263억 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60.3%(399억 원) 감소했다.이는 지난 5년 중 코로나 시기였던 2021년(14만 명, 12억 원)과 2022년(227만 명, 220억 원) 2…

- 2025.03.31 11:1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