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이미지

주택으로 실적 방어 GS건설, 건설사 중 배당 규모 가장 많이 늘려

GS건설이 실적 악화에도 불구하고 배당을 늘렸다. 증감률 기준으로 배당 기조를 발표한 주요 건설사 가운데 배당금을 가장 큰 폭으로 증가시켰다. GS건설은 2020년 결산 기준으로 1주당 1200원의 배당금을 지급한다.8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GS건설의 현금·현물 배당 결정을 분석한 결과, 이 기업의 2020년 결산 배당금은 1주당 1200원으로 결정됐…

- 2021.03.08 08:53:17
대표이미지

영업손실 더 늘어난 삼성중공업, 정진택 대표 반등할까

삼성중공업이 연간 기준으로 6년 연속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이 기간 누적 손실은 4조 원에 달한다. 올해 초부터 이어진 수주 랠리와 유가 상승에 힘입어 올해는 적자에서 벗어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 회사는올해 정진택 대표를 새로운 수장으로 맞았다.8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삼성중공업의 잠정 실적(연결 기준)을 분석한 결과, 이 기업은 2020년 연…

- 2021.03.08 08:52:01
대표이미지

SPC삼립, 종합식품기업 도약…황종현 체제서 이익 볼륨 키웠다

SPC삼립의 연간 영업이익이 황종현 체제에서 8.7% 증가했다. 2020년은 SPC삼립이 밀키트와 샐러드사업 등으로 영역을 확장, 종합식품기업으로 성장한 한 해였다. 황 대표는 2020년 3월 이 회사의 수장 자리에 올랐다.8일 데이터뉴스가 SPC삼립의 연간 잠정 실적을 분석한 결과, 영업이익이 황종현 대표 취임 전인 2019년 대비 2020년 8.7% 증가했다. 2019년 470억 원에서 202…

- 2021.03.08 08:51:22
대표이미지

30대그룹 배당성향 39.3%→55.5% 급상승

국내 주요 기업들이 배당금을 대폭 높여 배당성향이 50%를 훌쩍 뛰어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순이익의 절반 이상을 주주들에게 돌려준 것이다.8일 데이터뉴스가 30대그룹 상장계열사 중 2020년 배당금을 공시한 107개 기업을 분석한 결과, 이들 기업의 배당성향(당기순이익 대비 배당금총액 비율)은 55.5%로 집계됐다. 이 같은 배당성향은 전년(39.3%)보다 16.2%p 상승한 것이다…

- 2021.03.08 08:50:26
대표이미지

스튜디오드래곤 성장 지속…출범 5년 만에 매출 129.5% 증가

스튜디오드래곤의 매출이 출범 5년 만에 129.5% 증가했다. 매해 최고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이 회사는 2016년 5월에 출범했다.5일 데이터뉴스가 스튜디오드래곤의 IR자료를 분석한 결과, 매출이 출범 첫 해인 2016년 대비 2020년 129.5% 증가했다.2016년 실적은 5~12월을 기준으로, 2017~2020년 실적은 연간으로 집계했다.매출은 해를 거듭할수록 약 1000억 원씩 신장했다.…

- 2021.03.05 08:45:07
대표이미지

신세계그룹 한지붕 아래…극과 극, 이마트와 신세계

신세계그룹 한 지붕 아래 양대 축인 이마트와 신세계의 영업이익이 크게 갈렸다. 이마트는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 등 실적 지표를 모두 호조세로 돌려놨지만, 신세계는 영업이익이 80% 이상 급감하는 등 전년에 비해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다.5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이마트와 신세계의 잠정 실적(연결 기준)을 분석한 결과, 두 기업의 연간 영업이익 희비…

- 2021.03.05 08:44:38
대표이미지

롯데하이마트, 배당성향·싯가배당률 모두 톱클래스

롯데하이마트가 3대 유통 그룹의 유통 관련 상장사 중 가장 높은 배당성향을 기록했다. 지난해 시가배당률 역시 롯데하이마트가 가장 높았다.5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3대 유통 그룹 13개유통·식품·패션·가구 계열사의배당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들 기업의 총 배당금은 2019년 3062억 원에서 2020년 2824억 원으로 7.8%(238억 원) 감소했다. 30…

- 2021.03.05 08:43:32
대표이미지

코로나19 특수에 식품업계 배당 ‘쑥쑥’

식품업계가 지난해 코로나19 특수를 누리며 순이익을 대폭 늘렸다. 이에 힘입어 배당금 규모도 큰 폭으로 증가했다.4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잠정실적(연결 기준)과 배당금을 공시한 CJ제일제당, 오리온, 농심, 동원FB, 롯데제과 등 상위 5개 식품기업을 분석한 결과, 이들 기업의 지난해 순이익 합계는 1조3724억 원으로 집계됐다. 전년(5899억 원)보다 7825…

- 2021.03.04 08:51:21
대표이미지

에어부산, 5년간 실적 내리막…부채비율도 최고

에어부산의 영업실적이 갈수록 나빠지고 있다. 최근 5년간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매년 감소하다 2019년 적자전환에 이어 2020년엔 적자폭을 크게 키웠다.부채비율 역시 큰 폭으로 늘었다.4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에어부산의 잠정 실적을 분석한 결과, 2020년 매출이 2016년 대비 57.2% 감소했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적자 전환됐다.이 회사…

- 2021.03.04 08:50:53
대표이미지

현대바이오랜드, 현대백화점그룹 편입 첫해 적자전환

현대백화점그룹이 지난해 SKC로부터 인수한현대바이오랜드가 적자로 돌아섰다. 배당금도 70% 이상 줄었다.4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현대백화점그룹 8개 상장계열사의 실적을 분석한 결과, 이들 8개 기업은 2020년 총 매출 11조486억 원, 총 영업이익 5230억 원, 총 당기순이익 3370억 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2019년에 비해 3.5%(3732억 원) 증가…

- 2021.03.04 08:50:21
대표이미지

삼성 상장계열사, 코로나19 와중에 1년간 영업이익 25.8%↑

삼성그룹 상장계열사들이 코로나19 속에서도 1년간 영업이익을25.8%나 늘렸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이익 증가율이 가장 컸고, 영업이익 규모로는 삼성전자가 가장 컸다.3일 데이터뉴스가 삼성그룹 상장사 16개의 연간 영업이익을 분석한 결과, 2019년 34조4976억 원에서 2020년 43조3849억 원으로 25.8% 증가했다.영업이익이 증가한 기업은 9개다.삼성바이오로직스의 영업이…

- 2021.03.03 09:06:51
대표이미지

DL이앤씨, 2년연속 영업이익 '1조 클럽'…마창민 대표 체제 주목

DL이앤씨(분할 전 대림산업)가영업이익을 늘리며 2년 연속 영업익 1조 클럽에 이름을 올렸다. 자회사대림건설이 주택 사업으로 이익을 대폭 늘린 게 주효했다.3일 데이터뉴스가 DL이앤씨의 IR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기업의 2020년 연간 매출은 10조2650억 원으로 집계됐다. 직전년도(9조7001억 원) 대비 5.8% 늘었다.영업이익은 1조1301억 원에서 1조1781억 원으로 4.2% 증…

- 2021.03.03 08:55:14
대표이미지

코웨이, '밖'에서도 '인기몰이' 중…해외 매출 38.4%↑

코웨이의 해외 연간 매출이 38.4% 증가했다. 해외 시장 공략이 성공적이었다는 평이다. 이 회사는 국내 환경가전 시장이 포화상태에 다다르자 발 빠르게 해외로 사업을 돌렸다.3일 데이터뉴스가 코웨이의 IR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체 매출이 2019년 3조189억 원에서 2020년 3조2374억 원으로 7.2% 증가했다.이 가운데 해외 매출은 2019년 6476억 원에서 2020년 8961억 원으로 3…

- 2021.03.03 08:54:47
대표이미지

한국타이어만 영업이익 늘렸다

한국타이어가 타이어업계 중 유일하게 영업이익을 늘렸다. 코로나19로 인한 수요 감소를 딛고 두자릿수 영업이익 증가율을 기록했다. 2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타이어업계 3사의 잠정 실적(연결 기준)을 분석한 결과, 2020년 합계 기준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이 10조3228억 원, 7035억 원, 3192억 원으로 집계됐다. 직전년도(11조2748억 원, 8088억…

- 2021.03.02 08:55:30
대표이미지

CJ제일제당, 빛 나는 바이오…올해도 성장세 이어간다

CJ제일제당의 4분기 매출이 4.5% 증가했다.바이오 사업부문이 빛을 발했다.2일 데이터뉴스가 CJ제일제당의 IR자료를 분석한 결과, 자회사 CJ대한통운 실적을 제외한 4분기(10~12월) 매출이 2019년 3조3236억 원에서 2020년 3조4728억 원으로 4.5% 상승했다.바이오 사업부문(바이오·FC) 매출이 2019년 1조2131억 원에서 2020년 1조3448억 원으로 10.9% 증가했다. 주요…

- 2021.03.02 08:5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