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이미지

중소기업 1~9월 특허 출원 4만건 육박…작년보다 10.7%↑

올 들어 9월까지 중소기업의 누적 특허 출원 건수가 총 3만8406건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대비 10.7% 증가했다.20일 데이터뉴스가 특허청의 '2020년 특허 및 상표 출원 현황(9월 기준)'을 분석한 결과, 올해 9월 누적 특허 출원은 총 15만5164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3.6%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출원인 유형별로는 중소기업의 특허 출원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중소기업의 9월 누…

- 2020.10.20 07:57:34
대표이미지

한진그룹, 30대그룹 중 적자계열사 비중 최고

한진그룹 상장계열사 5개 가운데 3개사에서 올해 상반기 영업손실이 발생했다. 한진칼이상반기 1064억 원의 영업손실이 발생하며, 5개사 가운데 손실폭이 가장 컸다.19일 데이터뉴스가 30대 그룹(상장계열사 2개 이상)의 영업실적을 전수조사한 결과, 25개 그룹 상장계열사 185개 가운데 28개(15.1%)에서 올해 상반기 영업손실이 발생했다. 포스코·GS·농협·KT·대림·미…

- 2020.10.19 09:09:11
대표이미지

KT&G, 코로나19 속에서 빛난 부동산사업부문

KTG의 사업영역 중 부동산사업 부문이 주목을 받고 있다.상반기 코로나19 등의 여파로 담배와 인삼사업부문 이익이 감소한 가운데, 부동산 부문은 50% 이상 큰 폭의 영업이익 증가세를 보였다. 19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의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KTG의영업실적을 살펴본 결과, 이 회사 영업이익은 2019년 상반기 7472억 원에서 올해 7097억 원으로 5.0% 감소했다.영업…

- 2020.10.19 09:08:38
대표이미지

김호성 대표 체제 GS홈쇼핑, 코로나19 속 매출 늘리며 순항

김호성 GS홈쇼핑 신임대표가 첫 상반기 성적표에서 합격점을 받아들었다. 코로나19 상황에 비대면 소비가 늘면서 매출 성장세를 이어갔다.이 회사는 상반기동안 6220억 원의 매출을 거뒀다.19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GS홈쇼핑의 반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상반기 기준 매출액이 지난 2018년부터 꾸준히 성장세를 이어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상…

- 2020.10.19 09:08:03
대표이미지

롯데 인력조정의 비밀...식품·유통 줄이고 IT·화학 늘렸다

롯데그룹 상장계열사의 최근 직원수 추이가 업종에 따라 엇갈린 모습을 보였다.식품·유통 부문은 줄었고 IT·화학부문은 늘었다.19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롯데그룹 9개 상장사의 반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6월 말 현재 식품유통부문 계열사 직원은 전년 동기보다 줄어든 반면, IT·화학부문 계열사 직원은 큰 폭으로 늘었다.식품유통부문의 롯데쇼…

- 2020.10.19 09:06:45
대표이미지

9월 석탄·석유 수출물가지수 1년 새 37.7% 하락

9월 석탄 및 석유 제품 수출물가지수가 77.45(2015년=100)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대비 37.7% 떨어져 가장 큰 하락폭을 보였다.19일 데이터뉴스가 한국은행의 '2020년 9월 수출입물가지수(잠정)'를 분석한 결과, 9월 수출물가총지수는 94.70으로 나타났다. 전년 동월(100.96)보다 6.2% 하락한 수치다.공산품의 수출물가지수 하락이 컸다. 공산품의 총 지수는 94.62로, 지난해 같…

- 2020.10.19 07:58:29
대표이미지

정유업계, 직원 늘린 대신 급여 줄였다

정유업계가상반기 직원은 늘린 대신급여는 줄인 것으로 조사됐다. 원유가격 하락 등의 영향으로 4개 기업모두 영업 적자를 기록한 가운데,직원 1인당 평균 급여액은 전년보다 6.5% 감소했다.16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정유업계 4사의 반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4개 기업의 올해 6월 말직원 수는 총 1만1007명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1만440명) 대비…

- 2020.10.16 09:10:41
대표이미지

9월 ICT 수출액, 대만에서만 전년 동기 대비 53.6% 증가

올해 9월 ICT(정보통신기술) 수출로 대만에서 벌어들인 금액은 8억34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5억4300만 달러) 대비 53.6% 증가했다.15일 데이터뉴스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9월 ICT 수출 현황(잠정)'을 분석한 결과, 올해 9월 아시아로의 ICT 수출액은 총 137억18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월 124억6600만 달러 대비 10.0% 증가한 수치다. 아시아는 북미…

- 2020.10.16 09:07:38
대표이미지

원자재와 소비재 줄고, 자본재 늘었다

9월 누적 품목별 수입 실적이 전년동기대비 9.1% 하락했다.16일 데이터뉴스가 관세청의 '9월 수입 현황 확정치'를 분석한 결과, 9월 누적 수입 실적이 2019년 3775억3000만 달러에서 올해 3433억5600만 달러로 9.1% 감소했다.수입 품목별은 크게 원자재, 소비재, 자본재로 나뉜다.이 중 원자재가 작년 9월 누적 1912억2600만 달러에서 올해 1533억4300만 달러로 19.8% 감소했…

- 2020.10.16 09:05:56
대표이미지

현대차, 국산 완성차 중 내수 판매 가장 큰 폭 증가

현대자동차가 국산 완성차 가운데 내수 판매 대수를 가장 큰 폭으로 늘리며 업계 맏형의 체면을 살렸다. 현대차는9월 한 달동안내수로 6만7080대를 판매했다. 전년 동월 대비 33.8% 늘었다.15일 데이터뉴스가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한국지엠, 쌍용자동차, 르노삼성자동차 등 국산 완성차 5사의 판매 추이를 분석한 결과,9월 기준 총 13만8530대가 내수판매됐다. 전년 동월(11만2…

- 2020.10.15 09:06:49
대표이미지

홈쇼핑 영업이익 강자는 CJ ENM 오쇼핑...규모, 증가율 모두 최고

CJ ENM 오쇼핑이 상반기 코로나19 상황에서국내 홈쇼핑 기업 중 가장 많은 영업이익을 냈다. 영업이익 증가율도 가장높았다.15일 데이터뉴스가 파악 가능한 국내 홈쇼핑 5개사의 상반기 영업실적을 분석한 결과, CJ ENM 오쇼핑부문의 영업익은 작년 상반기 781억 원에서 올해 877억 원으로 12.3% 증가했다. 국내 홈쇼핑 기업 중 유일하게800억 원대 영업이익을 기록했다.매출 또…

- 2020.10.15 09:04:38
대표이미지

신기술 개발 투자 힘쓴 롯데건설, 연간 투자액 1년 새 3.1%↑

롯데건설이 신기술 개발 투자에 힘쓰고 있다. 연간 기준 RD 투자액이 꾸준히 성장세를 그렸다. 지난 2019년 연간 기준 RD 투자액은 24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1% 증가했다.14일 데이터뉴스가 롯데건설의 2020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이 기업의 연간 기준 RD 투자액이 지난 2016년부터 꾸준히 증가세를 그리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따르면…

- 2020.10.14 08:28:06
대표이미지

지난해 레저·건강 상표출원 4만1702건…4년 전보다 31.7%↑

지난해 레저 및 건강 관련 상표출원이 4만1702건으로 집계됐다. 4년 전보다 30% 이상 늘었다.13일 데이터뉴스가 특허청의 '최근 5년간 레저 및 건강 관련 상표출원 현황'을 분석한 결과, 레저 및 건강 관련 상표출원이 매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3만1663건, 2016년 3만1964건, 2017년 3만3990건, 2018년 3만6989건, 2019년 4만1702건으로 집계됐다.레저 및 건강 관…

- 2020.10.13 08:56:20
대표이미지

삼성 상장사 16개중 10개 영업이익 악화

국내 재계서열 1위 삼성그룹도 16개 상장계열사중 10개사는 영업이익 감소를 경험했다. 코로나19 영향에서 자유롭지 못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13일 데이터뉴스가 삼성그룹 16개 상장계열사의 실적을 분석한 결과, 2개 기업이 올해 상반기 영업손실을 기록하고 8개 기업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영업이익이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호텔신라는 올해 상반기 1302억 원의 영업손실을…

- 2020.10.13 08:46:45
대표이미지

제과업계 빅4 직원 감소…1년 새 936명↓

제과업계 빅4가 모두 직원을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13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해태제과식품, 오리온, 롯데제과, 크라운제과의 반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6월 말 기준 4사 직원은 총 9141명으로, 전년 동기(1만77명)보다 9.3%(936명) 감소했다.제과업계의 고용 감소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소비 침체와 기업간 경쟁 심화가 주 원인으로 분석된다.기…

- 2020.10.13 08:44: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