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이미지

문체부, '한국 스포츠' 성장 가속화 위해 지원 늘렸다

크게 위축됐던 스포츠 산업이 코로나 종식과 올림픽 열기를 통해 다시 활기를 찾고 있다. 더불어 문화체육관광부가 한국 스포츠 업계 발전을 위해 스포츠 산업 전반과 하계올림픽 주요 종목에 지원을 확대한다.24일 데이터뉴스가 '2023년 스포츠산업 조사(문화체육관광부)'를 분석한 결과, 2023년 국내 스포츠산업 매출은 81조320억 원으로, 2019년(80조6840억 원) 대비 3480억 원…

- 2025.03.24 17:25:39
대표이미지

외국인 범죄자, 2020년 이후 최대치

외국인 범죄자가 2020년 이후 최대치를 찍었다.24일 데이터뉴스가 경찰청의 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국내 체류 외국인 가운데 피의자는 3만5283명으로 전년(3만2737명) 대비 7.8%(2546명) 증가했다. 2020년 3만9139명을 기록한 이후 최대치다.연도별로 최근 5년간 2020년 3만9139명, 2021년 3만2470명, 2022년 3만4472명, 2023년 3만2737명, 지난해 3만5283명…

- 2025.03.24 15:10:16
대표이미지

유연근무 확산되는 국가공무원…최다 사용처는 병무청

국가공무원들의 업무 효율성이 개선됐다. 코로나 19 이후 처음으로 유연근무 사용률이 60%를 넘겼다.24일 데이터뉴스가 인사혁신처의 '2024년 근무 혁신 추진실적'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국가공무원들의 지난해 유연근무 이용률(연 12일 이상 유연근무 이용자(교대근무·현업, 2개월 미만 근무자 제외))이 61.0%로 집계됐다.인사처는 공직사회의 경직적인 근무 관행을 탈피해 생산…

- 2025.03.24 11:02:19
대표이미지

국내 게임산업, 세계 시장 점유율 7.8%…4년 연속 4위 유지

국내 게임산업이 세계 시장에서 4년 연속 글로벌 점유율 4위를 유지했다.24일 데이터뉴스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발표한 '2024 대한민국 게임백서'를 분석한 결과, 2023년 세계 게임 시장의 전체 규모는 2051억8900만 달러로 전년(2012억2390만 달러) 대비 2.0% 증가했다.이 가운데 한국은 7.8%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미국(22.4%), 중국(20.9%), 일본(9.0%)에 이어 세계 시장 점…

- 2025.03.24 10:29:10
대표이미지

지난해 혼인건수 22만2000건…증가폭 14.8%으로 역대 최대

지난해 결혼 적령기 인구가 증가하면서 혼인 건수가 역대 최고 증가율을 기록했다.21일 데이터뉴스가 통계청의 ‘2024년 혼인·이혼 통계’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혼인 건수는 22만2400건으로 전년(19만3700만 건) 대비 14.8% 증가했다. 이는 1970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평균 초혼 연령은 남성이 33.9세로 전년보다 0.1세 하락했으며, 여성은 31.6세로 0…

- 2025.03.21 14:26:15
대표이미지

문화예술에서도 '빈익빈 부익부'

소득계층간문화예술 관람양극화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소득이 높을수록 문화예술 관람률이 높았다.21일 데이터뉴스가 문화체육관광부의 '2024 국민문화예술활동조사'를 분석한 결과, 소득이 500만 원 이상인 가구의 문화예술 관람률이 70%대를 기록했다.문화체육관광부는 국민 문화향유 진흥 도모를 목적으로 전국 15세 이상 인구 1만103명을 대상으로 문화수료 및 실태 분석을…

- 2025.03.21 13:26:36
대표이미지

해킹·업무과실에 뚫린 개인정보…지난해도 300건 넘게 유출

2024년 한 해 동안 발생한 개인정보 유출 신고 건수가 300건을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신고 중 절반 이상이 해킹에 의한 것으로 집계됐다.21일 데이터뉴스가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 접수된 2024년 개인정보 유출 신고 건을 분석한 결과, 총 307건의 유출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3년(318건)과 비슷한 수준이다.유출 원인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은 해킹으로…

- 2025.03.21 12:04:22
대표이미지

취업률 높은 국가기술자격증은?

국가기술자격 취득자 중 미취업자의 절반 정도가 1년 이내에 취업에 성공했다. 취업자 1만 명 기준으로 전기산업기사의 취업률이 가장 높았다.21일 데이터뉴스가 고용노동부의 '취업에 유리한 국가기술자격 분석'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3년 국가기술자격을 취득한 74만 명 중 미취업자(44만5000명)의 절반 정도가 1년 이내에 취업한 것으로 나타났다.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

- 2025.03.21 10:17:10
대표이미지

캠핑장 안전사고 10건 중 6건, 어린이 피해

최근 5년간 캠핑장 안전사고 10건 중 6건이 만 13세 미만 어린이에게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캠핑 인구 증가와 함께 사고 위험도 커지고 있어 보호자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20일 데이터뉴스가 최근 5년간(2020년~2024년)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캠핑장 관련 안전사고(409건) 중 연령이 확인된 392건을 분석한 결과, 61.2%(240건)가 만 13세 미…

- 2025.03.20 16:15:57
대표이미지

외국인 근로자, 10명 중 9명은 200만 원 이상 번다

외국인 임금 근로자 10명 중 9명은 월 200만 원 이상을 버는 것으로 나타났다.20일 데이터뉴스가 통계청의 '2024년 이민자체류실태및고용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200만 원 이상 버는 외국인 근로자는 88.3%로 집계됐다.금액별로 300만 원 이상 37.1%, 200만~300만 원 51.2%씩이다.100만~200만 원과 100만 원 미만은 8.4%, 3.3%로 집계됐다.직업별로는 영주(55.2%), 재외…

- 2025.03.20 14:21:09
대표이미지

코로나 끝나자 '연차소진' 늘어났다…만족도도 70% 첫 돌파

코로나19 종식 이후 여행 목적의 연차 사용이 늘어나고 있다.20일 데이터뉴스가 문화체육관광부가 사업체 2000개소, 근로자 5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2024 근로자 휴가조사'를 분석한 결과, 2023년 연차 소진율이 2020년(71.6%) 대비 6.1%p 증가한 77.7%로 집계됐다.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로 여행 수요가 줄며 연차 소진율은 2020년 71.6%까지 주저 앉…

- 2025.03.20 11:05:48
대표이미지

텍스트 힙 열풍, 1020대 시집 구매율 증가

시 분야는 2018년부터 2025년까지 전통적으로 50대가 가장 많이 구매하는 연령대였으나, 최근에는 1020세대의 성장세가 두드러지고 있다.20일 예스24에 따르면, 1020세대의 시집 구매 비율은 2025년(1월1일~3월 10일) 20.1%로 2020년(12.7%) 대비 7.4%p 증가했다.특히, 독서가 힙하다는 인식을 확산시킨 ‘텍스트 힙’ 열풍이 시작된 지난해부터 1020세대의 시집 구매량…

- 2025.03.20 11:04:34
대표이미지

중고차가 대세…소비자 10명 중 7명 “신차보다 중고차”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소비자들이 중고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17일 엔카닷컴에 따르면, 올해 차량을 구매한다면 10명 중 7명이 신차보다 중고차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번 설문조사는 올해 소비자들의 자동차 구매 계획 및 구매 시 고려 요소를 알아보기 위해 지난 2월 4일부터 10일까지 총 228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올해 차량을 구매할 계획이 있다고 답한…

- 2025.03.19 16:33:06
대표이미지

국내 체류 외국인, 성별에 따른 유형 차이 뚜렷

국내 체류 외국인의 성별에 따른 체류 유형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남성은 주로 취업을 목적으로 체류하는 반면, 여성은 결혼이민과 교육 목적이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19일 데이터뉴스가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이민자 체류 실태 및 고용 조사'를 분석한 결과, 2024년 5월 기준 15세 이상 국내 상주 외국인은 총 156만 명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남성이 57.8%, 여성…

- 2025.03.19 13:35:18
대표이미지

스크린 독과점, 한국 영화 산업의 폐단으로 지목됐다

2010년 후반부터 과열된 일부 대형영화의 스크린 독과점으로 한국 영화 산업의 위기가 발생했다는 지적이 나온다.19일 데이터뉴스가 영화진흥위원회의 '2024년 영화 상영분야 공정환경 조성을 위한 영화인·관객 인식조사'를 분석한 결과, 한국 영화 산업에서 상영 1위 영화의 점유율이 2013년 50%대에서 2024년 80%대까지 치솟았다.한국 영화의 수익률은 2010년대에 비해 악화…

- 2025.03.19 11:5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