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크루트(www.incruit.com)가 월간 인재경영(hr.incruit.com)과 함께 구직자 209명, 직장인 415명 등 총 624명의 자사 회원에게 "우리나라 CEO가 가져야 할 소양"에 대해 묻자, '배려·신뢰 등 인간적인 요소'가 26.9%로 첫 손가락에 꼽혔다.
그 밖에 '미래지향적 비전 제시 능력(23.7%)', '자율성 보장과 권한 배분(22.5%)', '철저한 시스템화와 관리능력(9.3%…
인크루트(www.incruit.com)가 월간 인재경영(hr.incruit.com)과 함께 구직자 209명, 직장인 415명 등 총 624명을 대상으로 "주요기업 CEO에게 '포드형·간디형·처칠형·빌게이츠형' 중 가장 걸맞는 리더십 유형은 무엇인가"라는 설문을 실시했다.
그 결과, 삼성 이건희 회장이 해당 리더십에 적합한 CEO로 가장 많이 꼽혔다. 이는 이 회장의 인지도가 다른 기업…
우리나라 청소년은 어떤 원인으로 사망할까?
통계청(www.nso.go.kr)이 를 발표했다. 자료에 의하면 청소년의 인구 10만명 당 사망률은 2003년 46.0명에서 2004년 41.3명으로 감소 추세를 나타냈고, 주 사망원인은 '운수사고'와 '고의적자해-자살'로 드러났다.
2004년 "사망자의 연령별 분포"를 보면 0세가 32.1%로 가장 많았고, '20~24세(25.8%)', '15~1…
인크루트(www.incruit.com)가 월간 인재경영(hr.incruit.com)과 함께 구직자 209명, 직장인 415명 등 총 624명을 대상으로 "선호하는 CEO의 리더십 유형"에 대해 설문 조사한 결과, 설문 응답자의 42.8%가 배려와 인간관계 우선시하고 조화로운 대인관계 통한 지원에 중점을 두는 '간디형 리더십'을 선호했다.
이번 조사는 리더십을 ▲ 분석적이고 강한 책임감이…
통계청(www.nso.go.kr)이 를 발표했다. 자료에 의하면 15~19세의 "청소년 사망원인"의 경우 인구 10만명 당 사망률은 운수사고가 '8.7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고의적자해-자살(6.5명)', '악성신생물-암(4.6명)' 순이었다. 20~24세의 사망원인 1위는 '고의적자해-자살'로 인구 10만명 당 12.3명이 사망했고, '운수사고'는 11.2명으로 나타났다.
통계청(www.nso.go.kr)의 에 의하면 2004년 '교통사고로 인한 25세 이하 사망자'는 88,082명으로 전체 교통사고자(353,550명)의 24.9%를 차지했다. 연령별로는 '21~25세'가 10.7%로 가장 높았으며, 성별로는 '남자'의 비율이 14.8%로 '여자(10.1%)'보다 높았다.
가정의 달 5월…. 가족 간 서로를 생각하는 마음이나 표현이 각별해지고, 선물 준비로 마음이 분주한 시기다.
이에 검색포털 엠파스(www.empas.com, 대표 박석봉)가 지난 달 25일부터 5월3일까지 '어버이날 부모님께 드릴 선물은 무엇인가"라는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총 참여자 3,237명 중 2,042명(63.1%)이 '카네이션 보다는 정성스런 현금'을 드리겠다고 답했…
엠파스(www.empas.com)가 4월25일부터 5월3일까지 자사 회원 3,216명을 대상으로 "어버이날 자녀에게 받고 싶은 선물은 무엇입니까"라고 묻자, 전체 참여자의 36.5%가 '그저 마음만으로도 고맙다'고 답해 1위에 올랐다.
이어 31.4%가 '현금'을 꼽아 2위에 랭크됐으며, 감사편지(13.1%), 효도여행(6.5%), 점수 오른 성적표(3.8%)순으로 조사됐다.
엠파스(www.empas.com)가 오는 5월8일 어버이날을 맞아 지난 달 25일부터 "어버이날 부모님께 드릴 선물은 무엇인가"라는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총 참여자 3,237명 중 2,042명(63.1%)이 '카네이션 보다는 정성스런 현금'을 드리겠다고 답했다.
이어 '식사대접'이 13.3%로 2위, '카네이션'은 7.8%로 3위에 머물렀다.
우리나라의 장애인복지인권 수준이 100점 만점에 41점을 기록, 낙제점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www.kodaf.or.kr, 상임대표 김성재)이 열린우리당 장향숙의원, 한나라당 정화원의원, 민주당 손봉숙의원, 민주노동당 현애자의원과 공동으로 전국 16개 시·도지역 장애인복지인권수준 비교연구한 결과, 우리나라의 장애인복지인권 수준은 낙제…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www.kodaf.or.kr)이 전국 16개 시·도지역의 장애인복지인권 수준을 비교연구한 결과, 장애인들의 교통 및 주택편의시설 여건이 가장 좋은 지역은 전라남도(9.3점)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어 2위는 제주도로 7.86점, 3위 강원도(7.55점), 4위 서울특별시(7.33점), 5위 울산광역시(5.84점)순이었다.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www.kodaf.or.kr)이 전국 16개 시·도지역의 장애인복지인권 수준을 비교연구한 결과, 우리나라에서 장애인들이 교육을 받기 가장 좋은 지역은 8.49점인 대전광역시로 조사됐으며, 2위는 부산광역시(7.84점), 3위 인천광역시(7.36점), 4위 경상남도(7.31점), 5위 경상북도(5.92점) 등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