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이미지

화이트데이 선물 어디서 구매할까

화이트데이 선물을 주로 소셜커머스와 오픈마켓에서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1일 롯데멤버스의 자체 리서치 플랫폼 라임에 따르면, 화이트데이 선물 구매 계획이 있는 소비자들 중 소셜커머스와 오픈마켓에서 선물을 구입한다는 응답자가 16.9%로 가장 많았다.이어 편의점 16.2%, 대형 할인마트 14.9%, 백화점 10.6% 순으로 나타났다.선택 이유로는 '접근성이 좋아서', '가격이…

- 2025.03.11 17:16:55
대표이미지

5대 사회보험, 10년 간 국민 부담 2배↑

지난 10년 간 국민의 5대 사회보험 부담이 두 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11일 데이터뉴스가 한국경영자총협회에서 발표한 '5대 사회보험 국민 부담 현황과 정책 개선과제'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2023년 5대 사회보험료는 177조7872억 원으로, 전년(165조9969억 원) 대비 7.1% 증가했다.연간 사회보험료 규모는 2013년 85조8840억 원에서 10년 새 2.1배 늘었다. 5년 단위…

- 2025.03.11 14:55:56
대표이미지

올해 가장 절약하고 싶은 비용은 공과금·아파트관리비

올해 가장 절약하고 싶은 비용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지난해에 이어 공과금/아파트관리비를 절약하고 싶다는 비중이 16.6%로 가장 높았다.11일 데이터뉴스가 카드고릴라의 '2025년 가장 절약하고 싶은 비용은?' 설문조사 결과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가장 절약하고 싶은 비용 1위에는 16.6%(1466표)가 선택한 공과금/아파트관리비가 꼽혔다.이번 설문조사는 카드고릴라 웹사이…

- 2025.03.11 11:40:00
대표이미지

이커머스 유료 멤버십 이용자 절반 “가입비 아깝다”

이커머스 유료 멤버십인 쿠팡 와우,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신세계 유니버스 클럽 이용자들은 가입비에 비해 제공되는 혜택이 기대에 못 미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1일 데이터뉴스가 한국소비자원이 실시한 ‘주요 이커머스 유료 멤버십 3사(쿠팡, 네이버, 신세계) 1500명의 소비자 만족도와 이용행태 조사’를 분석한 결과, 조사대상 소비자의 52.7%는 유료 멤버십 혜택이…

- 2025.03.11 11:29:44
대표이미지

남녀 모두 늘었다…10년새 자살률 최고치

자살률이 10년새 최고치를 기록했다. 남녀 모두 증가세가 두드러졌다.10일 데이터뉴스가 통계청의 '국민 삶의 질 2024'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2023년 전체 자살률은 10만 명당 27.3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3년(28.5명) 이후 최대치다.2021년 26명, 2022년 25.2명으로 소폭 줄었지만 2023년 27.3명으로 증가했다.남녀 모두 증가세를 보였다. 남성의 자살률은 2021년 35.9명,…

- 2025.03.10 14:37:26
대표이미지

글만 써선 생계 어려워… 문학인 32.5% 월수입 100만 원 이하

문학 창작을 하는 문학인들 상당수가 월 평균 수입이 100만 원을 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0일 데이터뉴스가 문화체육관광부의 '2024년 문학실태조사'를 분석한 결과, 2023년 한 해 월 평균 수입(세전)이 100만 원 미만인 문학인이 조사대상 2000명 중 32.5%로 가장 많았다.이어 100 ~200만 원 미만이 19.3%, 200 ~300만 원 미만이 14.2%를 차지했다. 소득이 전혀 없다고…

- 2025.03.10 14:36:36
대표이미지

직장인 60%, "결혼은 필수 아닌 선택"

최근 직장인들은 결혼을 인생의 필수 요소로 여기지 않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10일 데이터뉴스가 인크루트에서 실시한 '결혼 가치관 설문 조사'를 분석한 결과, 응답자의 60.2%가 결혼이 필수가 아니라고 답했다. 이 설문조사는 직장인 653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직장 규모별로 살펴보면, 결혼이 '필수'라고 응답한 비율은 대기업 직장인이 43.8%, 중견기업이 40.0%, 중소기업이 38…

- 2025.03.10 13:06:49
대표이미지

대학생이 가장 일하고 싶은 그룹 1위는?

만족스러운 급여와 보상제도를 중시하는 대학생이 늘어나고 있다. 평소 보상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삼성그룹이 가장 일하고 싶은 그룹사로 많은 표를 받았다.10일 데이터뉴스가 인크루트의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구직 중인 전국 대학생이 가장 일하고 싶은 그룹사로 삼성(16.8%)이 선정됐다.인쿠르트는 지난 2월 10일부터 3월 3일까지 대학생 114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했다…

- 2025.03.10 10:35:56
대표이미지

등교 재개로 급감했던 학교생활 만족도, 2년 만에 반등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가 코로나19 이후 다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7일 데이터뉴스가 통계청의 '사회조사'를 분석한 결과, 2024년 기준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는 57.3%로 집계됐다. 2022년 51.1% 대비 6.2%p 증가했다.학교생활 만족도는 2010년 43.1%에서 꾸준히 상승해 2020년 코로나19 시기 59.3%까지 상승했으나, 2022년 51.1%로 급감한 이후 다…

- 2025.03.07 11:33:19
대표이미지

안정화되는 농축산물 가격…과일·시설채소↓

농축산물과 식품·외식 소비자물가의 안정세가 7개월 간 이어지고 있다.7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올해 2월 농축산물 소비자물가는 전년 대비 0.6%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농축산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8월 2.5%를 기록한 이후 하락세를 이어가며 11월에는 0.8%까지 낮아졌다. 그러나 12월에 다시 2.4%로 반등한 뒤, 1월 1.8%, 2월 0.6%로 다시 하락하며 점진적인…

- 2025.03.07 11:22:45
대표이미지

건강관리 열풍에 단백질 음료 인기↑…소비자 관심도 1위는

건강관리 열풍에 단백질 음료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주요 단백질 음료 중 매일유업의 셀렉스가 온라인 관심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데이터앤리서치는 2024년 1월부터 12월까지 뉴스, 커뮤니티, 유튜브, 블로그,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지식인·기업, 조직·정부, 공공 등 12개 채널 24만 개 사이트를 대상으로 주요 단백질 음료 브랜드의 관심도(포스팅…

- 2025.03.07 10:17:36
대표이미지

1월 외국인 방한객, 코로나19 이전 수준 회복…홍콩·대만서↑

외국인 방한객이 코로나19 이전 수준보다 늘었다. 홍콩, 대만, 말레이시아 등에서 한국을 찾는 외국인이 늘었다.6일 데이터뉴스가 한국관광공사의 통계를 분석한 결과, 지난 1월 외래관광객 수는 전년 동월(88만881명) 대비 26.8% 증가한 111만7243명으로 나타났다.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1월(110만4803명)보다 1만2440명 상승한 수치다. 최근 3개년도 동월과 비교해도 가장…

- 2025.03.06 16:46:23
대표이미지

국내 어업 생산량, 기후 변화에 2.2% 줄었다

2024년 국내 어업 생산량이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 악화와 고수온 등의 기후 변화, 어황 부진, 고유가 지속에 따른 출어 기피 등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6일 데이터뉴스가 통계청이 발표한 '2024 어업생산동향'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국내 어업 총생산량은 361만 톤으로, 전년(369만 톤) 대비 2.2% 감소했다.어업 생산금액은 10조918억 원으로 전년(9조4370억…

- 2025.03.06 16:44:44
대표이미지

줄어드는 예술인, 전업 비중 52.5% 그쳐

전업 예술인 비율이 52.5%로 낮아졌다.예술인 실태조사는 예술인 복지와 창작 환경 등을 파악하고, 이를 예술인의 권익 보호와 복지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국가승인통계조사다. 예술인 복지법 제4조의 3에 따라 3년마다 시행되고 있다.이번 조사는 전국 17개 시도의 모집단(33만2000명) 중 5059명을 1:1면접, 온라인, 전화 등의 방식으로 2024년 12월부터 2025년 1월…

- 2025.03.06 10:56:11
대표이미지

금값 '김치 프리미엄'에 금괴 밀수입 다시 증가세

최근 국내 금시세가 국제 시세보다 오르자 금괴 밀수입이 증가하고 있다.6일 데이터뉴스가 관세청의 '금괴 밀수입 적발현황'을 분석한 결과, 금괴 밀수입이 2023년 2억 원에서 2024년 7억 원으로 올랐다.금괴 밀수는 국내 시세가 국제 시세보다 높은 시기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지난 2017년부터 2018년까지 밀수입은 1390억 원에서 3606억 원까지 증가했다. 이후 2023년에는 2억…

- 2025.03.06 10:4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