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이미지

건설 빅5, 직원 수 2만 명대로 ‘뚝’

도급순위 기준 상위 5개 건설사의 직원 수가 2만 명대로 내려앉았다. 지속적인 감소세를 이어오다 올해 9월 말 2만9715명을 기록, 결국 3만명 대가 깨졌다.도급순위 상위 5개 건설사 가운데 삼성물산과 대림산업은 건설사업 이외의 타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이번 집계에서는 전체 사업부문 가운데 건설부문 직원 수 만을 대상으로 했다.29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 2020.12.29 09:09:18
대표이미지

㈜한화, 그룹 상장사 중 부채비율 증가세 최고

㈜한화의 부채비율이 한화그룹 상장계열사 중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9월 말 현재 부채비율이 869.4%로, 1년 새 29.8%p 증가했다. 부채규모도 가장 많다.28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한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솔루션의 분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3개 기업의 합계 기준 부채비율은 650.9%로 집계됐다.한화그룹 상장계열사 가운데 업계 특성상…

- 2020.12.28 09:07:33
대표이미지

하석주 롯데건설 대표, 이유 있는 연임…수익성 개선 입증

롯데그룹은 올해 코로나19 등으로 인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예년보다 일찍 정기 임원 인사를 단행했다. 주요 계열사의 수장이 교체된 가운데, 하석주 롯데건설 대표는 자리를 지켰다. 하 대표는 주력 사업인 주택 부문에서 성과를 내며 3분기 수익성 지표를 개선하는데 성공했다.28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롯데건설의 분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이 회사…

- 2020.12.28 09:06:03
대표이미지

현대로템, 300%대 부채비율 1년만에 100%대로

현대로템이 300%대였던 부채비율을 1년 새 100%대로 대폭 줄였다. 현대자동차그룹 상장계열사 가운데 가장 큰 감소폭이다.28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현대자동차그룹 12개 상장계열사의 분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6개 기업의 9월 말 부채비율이 전년 동기보다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이 가운데 현대로템의 부채비율이 가장 많이 감소했다. 이 회사…

- 2020.12.28 09:05:20
대표이미지

코로나19 직격탄...관광6사 직원 수, 1년 새 590명 줄어

주요 관광업계의 직원 수가 작년 9월 말 대비 590명 감소했다. 관광업종은 코로나19 확산으로 막대한 피해를 받은 대표적인 산업이다.24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주요 관광업체 6개사의 분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9월 말 기준 직원이 작년 5268명에서 올해 4678명으로 590명 감소했다. 6사 모두 줄었다.하나투어는 작년 2522명에서 올해 2354명으로…

- 2020.12.24 08:55:46
대표이미지

장세욱 동국제강 대표, 영업이익 늘리고 재무건전성 높이고

장세욱 대표 체제 동국제강이 영업이익을 늘리고 재무건전성도 높였다. 특히 올해 9월 말 기준 부채비율은 153.0%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186.1%) 대비 33.1%포인트 감소했다.24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동국제강의 분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올해 3분기 누적 매출이 3조8278억 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4조3002억 원) 대비 11.0% 감소했다. 코…

- 2020.12.24 08:54:57
대표이미지

코로나19와 싸운 새내기 CEO들, 선배들보다 잘했다

올해 대표이사에 취임한 새내기 CEO들이 선배 CEO들보다 좋은 실적을 낸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 첫 해 예기치 못한 코로나19와 맞서야 하는 상황에서 기존 CEO들보다 영업이익 감소폭을 최소화하면서 선방한 것으로 평가된다.24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30대그룹 상장계열사 중 지난해 말 또는 올해 초 선임된 신임 대표이사가 경영한 55개 기업의 1…

- 2020.12.24 08:54:10
대표이미지

온라인 식품 매출, 1년 새 46.4% 증가

온라인 유통업체의 11월 매출이 17.0% 증가했다. 특히 식품 매출이 46.4% 늘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24일 데이터뉴스가 산업통상자원부의 '2020년 11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을 분석한 결과, 11월 온·오프라인 유통업체의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3% 늘었다.오프라인은 2.4% 감소했지만, 온라인이 17.0% 증가했다. 코리아세일페스타와 연계한 다양한 할인행사와 코…

- 2020.12.24 08:32:48
대표이미지

표정 엇갈린 GS그룹 두CEO...김호성 '웃고', 김태형 '울상'

GS홈쇼핑이 3분기 영업이익을 2배 가까이 늘려 GS그룹 상장계열사 중 가장 높은 영업이익 증가율을 기록했다. 반면, GS글로벌은 영업이익의 4분의 1이 사라졌다.23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GS그룹 7개 상장계열사의 분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GS홈쇼핑의 3분기 영업이익 증가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GS홈쇼핑의 영업이익은 지난해 3분기…

- 2020.12.23 08:49:56
대표이미지

HDC그룹 상장사 영업이익 53.5%↑…현대EP만 감소

HDC그룹 상장계열사의 1~3분기 영업이익이 50% 이상 증가했다.23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HDC그룹의 4개 상장계열사의 분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이들 기업의 3분기 누적 영업이익은 총 8169억 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5321억 원)보다 53.5% 증가했다.HDC그룹 상장계열사 4곳 중 3곳의 영업이익이 늘었다.HDC의 3분기 누적 영업익…

- 2020.12.23 08:49:17
대표이미지

KT그룹, 1년 새 직원 612명 감소

KT그룹 상장계열사 직원이 1년 새 612명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KT와 KTcs의 감소폭이 컸다.23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KT그룹 상장계열사의 분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9개 상장사의 전체 직원은 지난해 9월 말 4만2624명에서 올해 9월 말 4만2012명으로 612명(1.4%) 감소했다. 지난 3월 상장한 플레이디는 지난해 분기보고서가 없어 조…

- 2020.12.23 08:48:48
대표이미지

제약업계 생산 실적 늘었는데…홀로 쪼그라든 녹십자

제약업계 공장가동률 증가와 함께 생산실적이 큰폭으로 증가한 가운데, 녹십자는 두 지표 모두 후퇴한 것으로 조사됐다. 녹십자의 올해 9월 누적 생산실적은 작년에 비해 5.2% 줄었고, 가동률은 64.0%로 5개 기업 가운데 가장 낮다.이번 조사는 상장기준 제약업계 매출액 상위 5개 기업을 대상으로 했다. 5개 기업 가운데 매출 1위인 셀트리온은 생산 실적을 공시하지 않아 집계에서 제…

- 2020.12.23 08:41:29
대표이미지

전문·과학·기술업, 서비스 산업의 꽃...매출 가장 큰 폭 증가

전문·과학·기술업의 매출이 서비스 산업 가운데 가장 많이 증가했다.23일 데이터뉴스가 통계청의 '2019년 서비스업 조사'를 분석한 결과, 총 11개 서비스 산업의 매출은 2018년 2140조 원에서 2019년 2188조 원으로 2.2% 늘었다.전문·과학·기술업이 2018년 87조 원에서 올해 94조 원으로 8.0% 증가했다. 법무법인, 회계법인, 경영컨설팅업 등 전문서비스업 매출 상승에 영…

- 2020.12.23 08:40:18
대표이미지

이효율 풀무원 대표, 뚝심 통했다...영업이익 2017년 수준 회복

풀무원이 영업이익 개선에 성공했다. 3분기 누적 영업이익 368억 원을 기록, 2017년 수준을 회복한 모습이다. 2017년 취임한 이효율 대표의 뚝심이 효과를 거두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22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풀무원의 분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3분기 누적 영업이익이 작년 235억 원에서 올해 368억 원으로 56.6% 증가했다.단체 급식 등을 맡고…

- 2020.12.22 10:00:48
대표이미지

현대미포조선, R&D 투자 1년 새 88.6% 늘려

현대미포조선이 올해 1~3분기 연구개발비를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두 배 가까이 늘렸다. 그룹 내 상장사 중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22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현대중공업그룹 상장사 4곳(한국조선해양, 현대건설기계,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 현대미포조선)의 분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이들 기업의 올해 3분기 누적 연구개발비는 총 1442억 원…

- 2020.12.22 10:0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