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이미지

[그래프]행복도시 주택분양정책 수립시 고려 사항

752명의 행복도시 이전대상 기관 공무원에게 "행복도시 주택분양정책 수립시 고려 사항"에 대해 설문한 결과 '주택분양금액 및 분납조건(28.0%)'과 '주택분양규모 및 구조(24.8%)'가 가장 많이 꼽혔다.

- 2006.03.28 00:00
대표이미지

[그래프]행복도시 비이주 및 전가족 비동반 이유

국회 건설교통위원회 김태환 의원이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발표한 '행정중심 복합도시 이전기관 공무원의 복지대책에 관한 연구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이전대상 기관 공무원 중 26.7%(752명)가 행정복합도시로의 이주계획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주하겠다고 밝힌 551명의 공무원 중 37.9%는 일부가족 혹은 독신이주를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주계획…

- 2006.03.28 00:00
대표이미지

[그래프]행복도시 이전기관 공무원 예상 주거이전 형태

국회 건설교통위원회 김태환 의원이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발표한 "행정중심 복합도시 이전기관 공무원의 복지대책에 관한 연구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행복도시 이전기관 공무원 중 '행복도시로 주거이전을 계획하고 있다'는 응답이 73.3%(551명)였다. 그 중 응답자의 62.1%가 '전 가족 동반이주'를 계획하고 있었으며, 이어 '일부 가족 동반이주(24.1%)', '독신 이주(1…

- 2006.03.28 00:00
대표이미지

[그래프]행복도시 이전기관 공무원 주거이전 계획

국회 건설교통위원회 김태환 의원이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발표한 '행정중심 복합도시 이전기관 공무원의 복지대책에 관한 연구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2014년 이후에도 계속 근무할 것으로 예상되는 752명의 이전대상 기관 공무원 중의 26.7%가 행정복합도시로의 이주계획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2006.03.28 00:00
대표이미지

구직자 45%, 채용공고 잦다면 불량기업 의심

구직자 두 명 중에 한 명은 불량기업을 구분해 낼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온라인 취업사이트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이정근)이 구직자 853명을 대상으로 "귀하는 불량기업을 구별할 수 있습니까?"라는 설문을 한 결과, 52.1%가 '있다'라고 응답했다. 이와 같은 응답은 신입직 구직자(44.1%) 보다는 경력직 구직자(58.5%)의 경우가 더 높았다.…

- 2006.03.28 00:00
대표이미지

[그래프]불량기업 확인 후 조치

사람인(www.saramin.co.kr)이 구직자 853명을 대상으로 "구직자의 불량기업 구분 여부"를 주제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45.2%가 불량기업에 취업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불량기업에 취업경험이 있는 구직자들을 대상으로 "불량기업임을 알고 난 후 취한 행동"에 대해 묻자, '그냥 조용히 그만 둔다'가 66.7%로 가장 많았다.

- 2006.03.28 00:00
대표이미지

[그래프]불량기업 취업의 폐해

사람인이 구직자 853명을 대상으로 "불량기업 구분 유무"라는 주제의 설문을 실시했다. "불량기업에 취업함으로 인해 입게 되는 가장 큰 폐해"로는 '다른 기업으로의 취업기회 상실'이 31.0%로 가장 많았고, 그 외에 '사회(기업)에 대한 불신(20.9%)', '정신적인 스트레스(20.4%)', '시간낭비(16.5%)' 등이 있었다.

- 2006.03.28 00:00
대표이미지

[그래프]불량기업 의심되는 공고유형

사람인이 구직자 853명을 대상으로 "불량기업이라는 의심이 가장 많이 드는 공고 유형"에 대해 질문한 결과 45.1%가 '너무 자주 채용공고가 나는 기업'을 꼽았다.

- 2006.03.28 00:00
대표이미지

[그래프]불량기업 구분 가능한 단계

사람인이 구직자 853명을 대상으로 "불량기업 구분 유무"라는 주제의 설문을 벌였다. "불량기업을 구분하는 것이 어느 단계에서 이루어지는가"를 묻는 질문에는 41.7%가 '공고를 보고 회사정보 검색해보는 단계'를 꼽았고 '면접을 보고 오면 안다(37.8%)', '공고만 봐도 대충 안다(16.0%)'가 뒤를 이었다.

- 2006.03.28 00:00
대표이미지

[그래프]구직자, 불량기업 구분 유무

사람인(www.saramin.co.kr)이 구직자 853명에게 "불량기업을 구별할 수 있나?"라는 설문을 한 결과, 52.1%가 '있다'라고 답했으며, 신입 구직자(44.1%)에 비해 경력직 구직자(58.5%)의 경우 응답률이 더 높았다.

- 2006.03.28 00:00
대표이미지

1학기 정부보증 학자금대출 8331억원

2006학년도 1학기 정부 보증 학자금 대출 결과, 대학생 25만6,226명이 8,331억원을 대출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교육인적자원부(부총리 김진표)와 한국주택금융공사(사장 정홍식)가 3월24일 마감한 '06년 1학기 정부보증 학자금대출 결과, 총 25만6,226명이 총 8,331억원의 대출을 받아 지난해 2학기의 18만2천명 보다 40%, 제도가 처음 도입된 지난해 1학기의 11만2천…

- 2006.03.28 00:00
대표이미지

아파트 브랜드 시대, 서비스출원 급증

아파트도 브랜드로 경쟁하는 시대가 왔다. 아파트 건설업계의 브랜드 도입은 기업의 이미지를 부각시킬 뿐 아니라 자사 아파트를 타사와 차별화하려는 시도로 떠오르고 있다. 특허청은 최근 5년간 아파트건축을 포함한 건설업 관련 서비스표출원은 2000년 초 연간 천4백 건 내외에서 2002년에 천6백여 건, 2003년 이후 2005년까지 매년 2천 건까지 증가했다고 28일…

- 2006.03.28 00:00
대표이미지

[그래프] 업체별 건설업 관련 서비스표출원 현황

특허청은 최근 5년간 아파트건축을 포함한 건설업 관련 서비스표출원은 2000년 초 연간 천4백 건 내외에서 2002년에 천6백여 건, 2003년 이후 2005년까지 매년 2천 건까지 증가했다고 28일 밝혔다. 최다 출원업체는 (주)대우건설로 총 150건을 출원하였고, 뒤를 이어 코오롱건설(62건), (주)지에스홀딩스(53건), 두산산업개발(50건), 삼성물산(47건), 현대건설(46건) 순…

- 2006.03.28 00:00
대표이미지

[표]저소득층 대상 정부보증 학자금 대출 실적

교육인적자원부가 "2006년 1학기 학자금대출 실적"을 집계한 결과,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4인가족 최저생계비(월 117만원, 연 1,404만원) 이하 저소득층에게 약 31%(약 80,000명)가 대출된 것으로 분석됐다.

- 2006.03.28 00:00
대표이미지

[표]대출유형별 정부보증 학자금 대출 현황

지난 3월24일 마감한 2006년 1학기 정부보증 학자금대출 결과, 총 25만 6,226명이 총 8,331억원의 대출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 저소득층 학생 중 이공계 학생 18,963명에게는 재학 중(거치기간 중) 무이자로, 기타 저소득층 학생 17,774명에게는 재학중 2%의 저리로 대출되었다.

- 2006.03.28 0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