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그룹-현대차그룹, 미국 제철소 공동투자

철강 및 이차전지 분야 상호 협력 위한 업무협약 체결

  • 카카오공유 
  • 메타공유 
  • X공유 
  • 네이버밴드 공유 
  •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목록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포스코그룹-현대차그룹, 미국 제철소 공동투자

▲(왼쪽부터) 김현식 현대자동차그룹 소재사업전략실장, 배성환 사업기획실장, 편광현 사업지원1실장, 한석원 기획조정본부장 부사장, 이주태 포스코홀딩스 미래전략본부장 사장, 이성원 에너지소재투자실장, 이원철 철강사업관리실장, 조표훈 경영전략실 상무보가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 사진=포스코홀딩스


포스코그룹과 현대자동차그룹이 글로벌 미래 모빌리티 소재시장 선점을 위해 손잡았다. 

포스코그룹은 현대차 강남대로 사옥에서 현대자동차그룹과 ‘철강 및 이차전지 분야의 상호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서’를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를 통해 글로벌 경제블록화 및 급변하는 통상환경 아래 탄소저감 철강 및 이차전지 시장에서 양사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시너지를 창출키로 했다. 

이번 업무협약 체결로 포스코그룹은 글로벌 최고 수준의 미래 모빌리티용 강재와 이차전지소재의 공급자로 자리매김하고, 현대자동차그룹은 완성차 시장의 글로벌 톱3 메이커로서 맞춤형 고급소재를 안정적으로 조달해 미래 모빌리티 시장을 선도한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선 철강분야에서 양사는 통상환경 극복을 위한 글로벌 합작투자부터 탄소저감 철강생산을 위한 효과적인 탄소중립전환까지 협력한다. 

특히 양사 협력의 첫 결실로 포스코그룹은 철강사업에서 완결형 현지화 전략의 일환으로, 최근 현대자동차그룹이 발표한 대미 철강투자에 참여한다. 이를 통해 포스코그룹은 지난 10여년간 보호무역장벽으로 제한됐던 북미 철강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확보할 수 있다.

철강사업회사 포스코는 이번 미국 루이지애나 제철소 합작투자를 통해 미국과 멕시코지역에 원활한 소재를 공급할 수 있어 유연한 글로벌 생산 및 판매체제를 갖출 수 있게 된다. 포스코는 현재 멕시코 자동차강판 공장(Posco-Mexico)을 비롯해 북미(미국/멕시코)지역에 철강가공센터를 운영하며 다양한 완성차사를 고객으로 보유하고 있다.

이차전지소재 분야에서도 포스코그룹은 글로벌 톱3 완성차 회사인 현대자동차그룹과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해 캐즘(Chasm)이후의 글로벌 EV시장에 적극 대응한다는 전략이다. 

특히 포스코그룹의 리튬부터 양/음극재 등 이차전지소재 사업 경쟁력과 현대자동차그룹의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 기술력을 시너지로 공급망 구축과 차세대 소재개발 분야 등에서 양사가 지속가능한 협업점을 찾는다는 계획이다.

이번 전략적 제휴는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 취임 이후 해외 고성장, 고수익 시장에서의 철강사업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중점 추진해온 ‘완결형 현지화 전략’과 이차전지소재시장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해 캐즘 이후를 대비하자는 전략의 일환으로 지난해부터 양사간 논의가 추진됐다.

이주태 포스코홀딩스 사장은 "양사의 시너지를 바탕으로 글로벌 통상압박과 패러다임 변화에 철강과 이차전지소재 등 그룹사업 전반에 걸쳐 지속성장할 수 있는 해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혜연 기자 phy@data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