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이미지

한화솔루션, 출범 이후 매년 최대 실적…배당은 없음

한화솔루션이 출범 이후 3년간 무배당 기조를 이어오고 있다. 지난해에는 영업이익이 1조 원에 육박하는 등 최대 실적을 거뒀는데도 배당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3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한화솔루션의 잠정실적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매출과 영업이익이 13조6539억 원, 9662억 원으로 집계됐다. 출범 이후 최대 실적이다.상반기에는 케미칼, 하반기에…

- 2023.03.03 08:23:48
대표이미지

CU의 맹추격, 쫓기는 GS25…매출격차 1000억 원대로 좁혀

편의점 업계 매출 1위인 GS25가 CU의 거센 추격을 받고 있다. 매출 격차는 1000억 원대로 좁혀졌고, 영업이익은 뒤짚혔다. 점포수는 이미 CU에 역전을 허용한 상태여서, 올해 선두경쟁은 더 치열해질 전망이다.2일 데이터뉴스가 편의점 업계 1, 2위인 GS25와 CU의 실적발표자료를 분석한 결과, 두 곳 모두 지난해 매출과 영업이익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CU의 실적 증가…

- 2023.03.02 08:24:47
대표이미지

롯데쇼핑, 롯데하이마트서 배당금 5년간 762억 원 수령

롯데하이마트가 순이익 감소에도 꾸준히 배당을 이어가고 있다. 이를 통해 롯데하이마트 최대주주인 롯데쇼핑은 최근 5년간 762억 원의 배당금을 받았다.2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롯데하이마트의 잠정실적을 분석한 결과, 이 회사의 지난해 순이익이 –5279억 원으로 집계됐다. 2020년 287억 원, 2021년 –575억 원에 이어 하락세를 이었다.지난해에…

- 2023.03.02 08:23:58
대표이미지

E1·SK가스, 실적 급증에 배당까지 풍년

E1과 SK가스의 지난해 주요 경영지표가 모두 상승했다. 두 회사 모두 호실적에 힘입어 지난해 배당 규모를 늘리며 적극적인 주주친화에 나섰다.2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E1과 SK가스의 잠정실적을 분석한 결과, E1의 지난해 매출은 전년보다 55.1% 증가한 7조9908억 원, 영업이익은 4899.4% 늘어난 2787억 원을 기록했다.경쟁사인 SK가스도 지…

- 2023.03.02 08:23:17
대표이미지

현대차그룹 고속성장…11개 상장사 두자릿수 매출 증가율

현대자동차그룹 상장계열사 12곳 중 11곳이 지난해 두 자릿 수 매출 증가율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24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현대차그룹 상장사의 연결재무제표 기준 잠정실적을 분석한 결과, 12개 기업 모두 지난해 매출이 늘었다. 이 기업들의 지난해 매출 합계는 374조9012억 원으로 집계됐다. 전년보다 20.9% 증가했다.현대비앤지스틸이 가장…

- 2023.03.02 08:22:09
대표이미지

오너가 지분 40% 삼양홀딩스, 순이익은 급락 배당은 상승

삼양그룹 지주회사인 삼양홀딩스가지난해 순이익이 크게 하락했지만 배당금액은 3500원으로 늘렸다. 이에 따라 최대 주주 김원 삼양사 부회장, 김정 삼양패키징 부회장, 김윤 삼양홀딩스 회장, 김량 삼양사 부회장은 지분율에 따라 60억 원의 배당금을 받아 갔다.28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삼양홀딩스의 잠정실적을 분석한 결과, 2022년 연결 당기순이…

- 2023.02.28 08:26:35
대표이미지

실적 본궤도 오른 HL디앤아이한라, 성장세 이어간다

HL디앤아이한라가 적자전환 이후 한 분기만에 다시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올해는 점진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28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HL디앤아이한라의 잠정실적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4분기(10월~12월) 영업이익이 314억 원으로 집계됐다. 전분기(-68억 원) 대비 흑자전환됐다.3분기 실적에 원자재값 상승에 따른 자재비, 외주…

- 2023.02.28 08:26:04
대표이미지

현대그린푸드, 박홍진 대표 체제 순항중…매출 4조 육박

현대그린푸드가 박홍진 단독 대표 체제서 높은 매출 신장을 보였다. 지난해는 최대 매출을 달성해 4조 클럽 입성을 앞두고 있다.28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현대그린푸드의 실적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전년 대비 12.5% 증가한 3조9232억 원의 매출을 올려 역대 최대 매출 기록을 경신했다.같은 기간 687억 원의 영업이익과 498억 원의 당기순이익을 기…

- 2023.02.28 08:23:25
대표이미지

'2024년 흑자' 외친 SK온, 손실률 줄였는데 주변 상황은 '비우호적'

SK온이 매년 영업손실률을 줄이며 흑자 전환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이 회사가 내세운 흑자전환 목표는 2024년이다. 다만, 최근 포드와 튀르키예 합작법인 설립 무산 등 악재가 터져 나오고 있어, 투자및 경영전략에 변화가 예상된다.27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SK온의 실적 추이를 분석한 결과, SK이노베이션 배터리사업으로 실적을 첫 공시한 2017년…

- 2023.02.27 08:34:13
대표이미지

김민영 동아에스티 대표, 데뷔 성공적…영업익 110% 늘렸다

동아에스티가 지난해 김민영 대표 체제서 영업이익을 100% 이상 늘렸다.27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동아에스티의 잠정실적(별도 기준)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매출 6358억 원, 영업이익 325억 원을 기록했다. 각각 전년 대비 7.7%, 109.7% 증가했다.엄대식 회장과 한종현 사장 투톱 체제로 운영되던 동아에스티는 지난해 3월 김민영 사장을 새로운 수…

- 2023.02.27 08:32:41
대표이미지

삼성물산 건설부문, 쌩쌩 달렸다…영업이익·영업이익률 급등

삼성물산이 작년 건설업황 부진속에서도 주요 건설사 중 유일하게 영업이익률을 늘렸다. 도급순위 기준 상위 5개 기업 기준, 실적을 발표하지 않은 포스코건설 대신 대우건설을 포함해 조사했다.24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주요 건설사의 잠정 실적을 분석한 결과, 5개 기업의 지난해 영업이익률은 4.9%로 집계됐다. 2021년(6.1%) 대비 1.2%p 하락했다…

- 2023.02.24 08:31:41
대표이미지

에쓰오일, 석유화학 집중도 높인다…CAPEX 5배↑

에쓰오일이 올해 CAPEX 규모를 전년 대비 5배 가량 늘린다. 샤힌 프로젝트를 본격화함에 따른 것이다. 다만, 최근 석유화학 사업 부진이 이어지고 있어 수익성 개선은 미지수다.24일 데이터뉴스가 에쓰오일의 실적발표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기업의 올해 CAPEX(자본적 지출) 규모는 2조791억 원으로 계획됐다. 2022년(4190억 원) 대비 396.2% 증가한 수치다.CAPEX 가운데 가장…

- 2023.02.24 08:31:17
대표이미지

동국제강, 주주환원 강화… 순이익 감소에도 배당 늘려

동국제강이 주주환원 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작년엔 순이익 감소했지만 배당금은 늘렸다.23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동국제강의 실적발표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순이익은 4320억 원으로 집계됐다. 2021년(5586억 원) 대비 22.7% 감소했다. 하반기 건설․가전 등 전방산업의 불황으로 수요가 감소한 데 영향을 받았다.동국제강은 지난해 순이익이…

- 2023.02.23 08:25:38
대표이미지

신약맛집 한미약품, 비결은 R&D…10년간 1조7567억 썼다

한미약품이 지난 10년간 연구개발(RD)에 1조7000억 원 이상을 투입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 기간 한미약품은 한 해도 빠지지 않고 매년 매출의 10% 이상을 연구개발비로 썼다. 한미약품은 대규모RD 투자를 발판으로 신약 개발 대표주자로 자리매김하며가파른 실적상승을 유지하고 있다.23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한미약품의 사업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 2023.02.23 08:25:00
대표이미지

콘텐츠 파워 확인한 CJ그룹, CJ EMM·CGV 매출 견인

CJ그룹 상장사 매출이 연결기준으로 100조 원을 향해 달리고 있다. 코로나19가 잠잠해지며 CJ ENM, CJ CGV, 스튜디오드래곤 등 콘텐츠 관련 상장사 매출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23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CJ그룹 9개 상장사의 연결 재무제표 기준 매출을 분석한 결과, 2021년 79조3506억 원에서 지난해 92조8110억 원으로 17.0% 상승했다.CJ CG…

- 2023.02.23 08:23: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