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이미지

문화예술에서도 '빈익빈 부익부'

소득계층간문화예술 관람양극화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소득이 높을수록 문화예술 관람률이 높았다.21일 데이터뉴스가 문화체육관광부의 '2024 국민문화예술활동조사'를 분석한 결과, 소득이 500만 원 이상인 가구의 문화예술 관람률이 70%대를 기록했다.문화체육관광부는 국민 문화향유 진흥 도모를 목적으로 전국 15세 이상 인구 1만103명을 대상으로 문화수료 및 실태 분석을…

- 2025.03.21 13:26:36
대표이미지

해킹·업무과실에 뚫린 개인정보…지난해도 300건 넘게 유출

2024년 한 해 동안 발생한 개인정보 유출 신고 건수가 300건을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신고 중 절반 이상이 해킹에 의한 것으로 집계됐다.21일 데이터뉴스가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 접수된 2024년 개인정보 유출 신고 건을 분석한 결과, 총 307건의 유출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3년(318건)과 비슷한 수준이다.유출 원인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은 해킹으로…

- 2025.03.21 12:04:22
대표이미지

취업률 높은 국가기술자격증은?

국가기술자격 취득자 중 미취업자의 절반 정도가 1년 이내에 취업에 성공했다. 취업자 1만 명 기준으로 전기산업기사의 취업률이 가장 높았다.21일 데이터뉴스가 고용노동부의 '취업에 유리한 국가기술자격 분석'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3년 국가기술자격을 취득한 74만 명 중 미취업자(44만5000명)의 절반 정도가 1년 이내에 취업한 것으로 나타났다.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

- 2025.03.21 10:17:10
대표이미지

캠핑장 안전사고 10건 중 6건, 어린이 피해

최근 5년간 캠핑장 안전사고 10건 중 6건이 만 13세 미만 어린이에게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캠핑 인구 증가와 함께 사고 위험도 커지고 있어 보호자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20일 데이터뉴스가 최근 5년간(2020년~2024년)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캠핑장 관련 안전사고(409건) 중 연령이 확인된 392건을 분석한 결과, 61.2%(240건)가 만 13세 미…

- 2025.03.20 16:15:57
대표이미지

외국인 근로자, 10명 중 9명은 200만 원 이상 번다

외국인 임금 근로자 10명 중 9명은 월 200만 원 이상을 버는 것으로 나타났다.20일 데이터뉴스가 통계청의 '2024년 이민자체류실태및고용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200만 원 이상 버는 외국인 근로자는 88.3%로 집계됐다.금액별로 300만 원 이상 37.1%, 200만~300만 원 51.2%씩이다.100만~200만 원과 100만 원 미만은 8.4%, 3.3%로 집계됐다.직업별로는 영주(55.2%), 재외…

- 2025.03.20 14:21:09
대표이미지

코로나 끝나자 '연차소진' 늘어났다…만족도도 70% 첫 돌파

코로나19 종식 이후 여행 목적의 연차 사용이 늘어나고 있다.20일 데이터뉴스가 문화체육관광부가 사업체 2000개소, 근로자 5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2024 근로자 휴가조사'를 분석한 결과, 2023년 연차 소진율이 2020년(71.6%) 대비 6.1%p 증가한 77.7%로 집계됐다.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로 여행 수요가 줄며 연차 소진율은 2020년 71.6%까지 주저 앉…

- 2025.03.20 11:05:48
대표이미지

텍스트 힙 열풍, 1020대 시집 구매율 증가

시 분야는 2018년부터 2025년까지 전통적으로 50대가 가장 많이 구매하는 연령대였으나, 최근에는 1020세대의 성장세가 두드러지고 있다.20일 예스24에 따르면, 1020세대의 시집 구매 비율은 2025년(1월1일~3월 10일) 20.1%로 2020년(12.7%) 대비 7.4%p 증가했다.특히, 독서가 힙하다는 인식을 확산시킨 ‘텍스트 힙’ 열풍이 시작된 지난해부터 1020세대의 시집 구매량…

- 2025.03.20 11:04:34
대표이미지

중고차가 대세…소비자 10명 중 7명 “신차보다 중고차”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소비자들이 중고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17일 엔카닷컴에 따르면, 올해 차량을 구매한다면 10명 중 7명이 신차보다 중고차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번 설문조사는 올해 소비자들의 자동차 구매 계획 및 구매 시 고려 요소를 알아보기 위해 지난 2월 4일부터 10일까지 총 228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올해 차량을 구매할 계획이 있다고 답한…

- 2025.03.19 16:33:06
대표이미지

국내 체류 외국인, 성별에 따른 유형 차이 뚜렷

국내 체류 외국인의 성별에 따른 체류 유형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남성은 주로 취업을 목적으로 체류하는 반면, 여성은 결혼이민과 교육 목적이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19일 데이터뉴스가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이민자 체류 실태 및 고용 조사'를 분석한 결과, 2024년 5월 기준 15세 이상 국내 상주 외국인은 총 156만 명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남성이 57.8%, 여성…

- 2025.03.19 13:35:18
대표이미지

스크린 독과점, 한국 영화 산업의 폐단으로 지목됐다

2010년 후반부터 과열된 일부 대형영화의 스크린 독과점으로 한국 영화 산업의 위기가 발생했다는 지적이 나온다.19일 데이터뉴스가 영화진흥위원회의 '2024년 영화 상영분야 공정환경 조성을 위한 영화인·관객 인식조사'를 분석한 결과, 한국 영화 산업에서 상영 1위 영화의 점유율이 2013년 50%대에서 2024년 80%대까지 치솟았다.한국 영화의 수익률은 2010년대에 비해 악화…

- 2025.03.19 11:57:06
대표이미지

중·고등학생, 용돈 4분의 1 편의점·매점에 쓴다

중·고등학생이 용돈의 4분의 1을 편의점·매점에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번 분석은 2019년~2024년까지 14~19세 체크카드 이용 고객 71만 명이 전체 업종에서 이용한 2억6000만 건의 결제 데이터를 대상으로 했다.19일 데이터뉴스가 KB국민카드의 '중·고등학생 체크카드 결제 데이터' 자료를 분석한 결과, 중 고등학생의 월평균 체크카드 이용금액은 2019년 12만…

- 2025.03.19 11:13:12
대표이미지

코로나19 이후, 커피음료점은 늘고 호프집은 줄었다

코로나19 이후 서울시 커피음료점은 증가한 반면, 호프집은 감소세에 놓였다.18일 서울시의 20개 생활 밀접 업종의 변화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5년간 커피음료점의 사업체 수는 계속해서 증가했다.▲2017년 1만6477개 ▲2018년 1만7891개 ▲2019년 1만9118개 ▲2020년 2만1683개 ▲2021년 2만1947개 ▲2022년 2만2135개로 집계됐다.코로나19 전인 2019년 대비…

- 2025.03.18 17:18:06
대표이미지

한국, 탈모 화장품 특허 점유율 1위… 천연물·바이오 분야 주도

한국이 최근 22년간 탈모 화장품 특허 출원 주요국 중 가장 높은 점유율을 기록했다. 특히 천연물과 바이오 물질 분야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18일 데이터뉴스가 특허청이 발표한 자료를 바탕으로 최근 22년간(2002년~2023년) 주요국의 탈모 화장품 특허를 분석한 결과, 한국 국적의 출원이 점유율 1위(42.9%, 576건)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탈모 화장품은 두피와 모발…

- 2025.03.18 14:40:55
대표이미지

부산서 베트남인 마약사범 175% 급증…상당수가 불법체류자

최근 동남아 한류 열풍으로 어학연수나 유학 비자로 입국하는 외국인이 증가하면서 부산 지역 외국인 마약사범이 치솟고 있다.18일 데이터뉴스가 부산지방검찰청(이하 부산지검)의 '부산 관내(동·서부지청 포함) 외국인 마약류 사범 수리 통계'를 분석한 결과, 2024년 베트남 마약사범은 179명으로 전년 대비 175% 증가했다. 이 기간 전체 외국인 마약사범의 76%를 차지했다.부산…

- 2025.03.18 14:39:01
대표이미지

건강기능식품 6조 시대… 소비자 70%가 온라인서 구매

건강기능식품 시장이 6조 원대로 성장한 가운데, 소비자의 대부분이 온라인에서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7일 데이터뉴스가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의 '2024 시장현황 및 소비자 실태조사'를 분석한 결과,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 규모는 2020년 5조1750억 원에서 2022년 6조4498억 원으로 증가했다.2023년 6조1415억 원, 지난해 6조440억 원으로 6조 원대에 머무르고 있다.주…

- 2025.03.17 14:5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