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이미지

생보사 CEO 연령스펙트럼, 좁고 집중화…평균 연령 59세

국내 생명보험사 CEO 연령 스펙트럼은 53세에서 67세로 좁게 집중됐다.성대규 신한생명 대표가 53세로 최연소, 신창재 교보생명 회장이 67세로 최고령이다. 2일 데이터뉴스가 국내 생명보험사 15곳의 CEO 16명을 분석한 결과, 이들의 평균 연령은 59세로 조사됐다. 50대 CEO가 10명, 60대 CEO가 6명이다.최연소 CEO는 성대규 신한생명 대표다. 1967년생으로 올해 53세다. 업…

- 2021.02.02 08:56:56
대표이미지

패션업계는 젊었다...40대 CEO가 30%, 모두 오너 2세

주요 패션업체 CEO 13명 중 4명이 40대로 나타났다. 이들 40대 CEO는 모두 오너 2세다.1일 데이터뉴스가 8개 주요 패션업체의 대표이사 13명을 분석한 결과, 이들의 평균 연령은 57세로 나타났다. 30대그룹 상장사 CEO 평균이 58.7세인 것을 감안하면 비교적 젊은 편이다.이번 조사 결과, 주요 패션업체 CEO의 30.8%(4명)가 40대로 나타났다. 이는 30대그룹 상장사 CEO의 40…

- 2021.02.01 09:15:00
대표이미지

30대그룹 상장사 CEO, 영남 출신 소폭 감소

30대 그룹 상장사 CEO 중 영남 출신이 1년 전에 비해 감소했다. 반면, 호남과 충남 출신 CEO가 소폭 늘었다.29일 데이터뉴스가 2021년 임원 인사를 반영한 국내 30대 그룹 상장계열사 대표이사출신지역을 조사한 결과, 출신지역을 알 수 있는 153명 중 서울 출신 CEO가 39.2%(60명)로 가장 많았다. 서울 출신은 1년 전에도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김현석 삼성전자 대표(1961년생…

- 2021.01.29 09:06:28
대표이미지

40대 정지선·정교선 대표 효과 ...현대백화점그룹은 젊다

현대백화점그룹 상장사 CEO 평균 연령이 50대 중반으로 나타났다. 신임 대표이사 2명을 60대로 채웠지만, 다른 그룹에 비하면 여전히 젊다. 오너일가 40대 정지선, 정교선 대표 영향이다. 28일 데이터뉴스가 현대백화점그룹 상장계열사 CEO 11명을 분석한 결과, 이들의 평균 연령은 55.6세로 나타났다. 30대그룹 상장사 CEO 평균(58.7세)보다 3.1세 낮다.현대백화점그룹은 최근…

- 2021.01.28 08:57:27
대표이미지

증권사 CEO, 경제·경영학 전공필수...75% 차지

증권사 CEO 12명 중 9명, 75%가 경제·경영학을 전공한 것으로 조사됐다.특히 경제학 전공자가 5명으로 42%를 차지했다. 27일 데이터뉴스가 10대 증권사의 대표이사 12명을 분석한 결과, 경제학·경영학 등 상경계열 전공자(학부 기준)가 9명으로 가장 많았다.경제학과 출신은 김성현 KB증권 대표, 장석훈 삼성증권 대표, 이진국 하나금융투자 대표, 최희문 메리츠증권 대표, 오…

- 2021.01.27 09:05:02
대표이미지

포스코그룹 CEO, 평균 60.9세...1957년~1963년에 집중

포스코그룹 상장사 CEO 7명의 평균 연령은 60.9세로 나타났다. 1957년생 윤양수 사장과 1963년생 최정우 회장 사이 6년에 사장단이 밀집한 것으로 분석됐다. 27일 데이터뉴스가 포스코그룹 상장사 6곳의 CEO 7명을 분석한 결과, 이들의 평균 연령은 60.9세로, 30대 그룹 평균(58.7세)보다 2.2세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포스코그룹 상장계열사 CEO는출생년도가 모두 1950년대 후…

- 2021.01.27 09:04:30
대표이미지

21년간 CEO...정기호 나스미디어 대표, 30대그룹 최장수 CEO

정기호 나스미디어 대표가 오너일가를 제외한 30대 그룹 상장계열사 CEO 중 재임기간이 가장 긴 것으로 나타났다. 정기호 대표는 올해로 22년째 나스미디어의 CEO를 맡고 있다.27일 데이터뉴스가 국내 30대 그룹 상장계열사 CEO 260명의 재임기간을 분석한 결과, 8명의 대표이사가 2000년대에 취임한 것으로 조사됐다.재임 기간은 현재 속한 기업에서 대표이사를 맡은 기간을 기…

- 2021.01.27 09:04:04
대표이미지

1960년대 생이 장악한 전업카드사...CEO 평균연령은 58.7세

전업카드사 CEO 7명의 평균 연령은 58.7세로 나타났다.25일 데이터뉴스가 전업카드사 CEO 7명을 분석한 결과, 이들의 평균 연령은 58.7세로, 1년 전(58.1세)보다 0.6세 높아졌다.7명의 전업카드사 CEO는 모두 1960년대생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60대가 3명, 50대가 4명이다.임영진 신한카드 대표와 정태영 현대카드 대표가 1960년생(61세), 이동철 KB국민카드 대표가…

- 2021.01.25 08:52:10
대표이미지

30대그룹 CEO, 경영‧경제학 33%...'전화기' 14.2%

30대그룹 CEO 33%가 경영‧경제학을 전공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년에 비해 소폭 감소하긴 했으나 영향력은 여전히 막강했다. 이른바 '전화기'로 불리는 전기‧화학‧기계공학 출신은14.2%를 기록해 여전히 약세를 보였다.22일 데이터뉴스가 국내 30대 그룹 상장계열사의 대표이사를 분석한 결과, 출신학과(학사 기준)가 파악된 253명(복수전공 1명) 가운데 경영학, 경제학, 기계…

- 2021.01.22 08:57:07
대표이미지

3대 유통그룹 CEO 평균 56.9세…롯데 58.1세로 최고

3대 유통그룹 상장사 대표이사 평균 연령은 56.9세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롯데그룹의 평균 연령이 가장 높았다.21일 데이터뉴스가 3대 유통그룹인 롯데·신세계·현대백화점그룹 상장계열사 대표이사 34명을 분석한 결과, 이들의 평균 연령은 56.9세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40대가 2명, 50대가 20명, 60대가 12명으로 집계됐다.40대 CEO는 정지선 현대백화점 회장(49세)과…

- 2021.01.21 08:26:33
대표이미지

카드사 CEO 7명은 모두 인문계...경제경영이 5명

전업카드사 CEO 7명은모두 인문계 학과를 전공했다. 이 중5명이 경제와 경영학 출신이다. 21일 데이터뉴스가 전업카드사 CEO 7명의 출신 대학 및 전공(학사 기준)을 분석한 결과, 모두 인문사회계열을 전공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경제학과 출신이 4명으로, 절반을 넘었다.김대환 삼성카드 대표,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 장경훈 하나카드 대표는 경제학과 출신이다. 4일 새로 취임한…

- 2021.01.21 08:26:05
대표이미지

시중은행장 평균연령 50대 진입

6대 시중은행장의 평균 연령이 50대로 내려왔다. 57세 '젊은 피' 유명순 한국씨티은행장이 등장 한 영향이다.19일 데이터뉴스가 6대 시중은행장을 분석한 결과, 이들의 평균 연령은 59.8세로 조사됐다. 지난해 초 60.0세에서 0.2세 젊어졌다.시중은행장 중 가장 젊은 유명순 한국씨티은행장이 지난해 10월 취임하며 평균 연령이 50대로 내려왔다. 유 행장은 1964년생으로 올해 57세…

- 2021.01.19 08:43:57
대표이미지

30대그룹 CEO, 서울대·고려대 파워 더 세졌다

30대그룹 상장계열사 CEO 출신대학 1, 2, 3위를 이른바 ‘SKY’가 차지한 가운데, 서울대와 고려대 파워가 더 거세졌다.지방소재 대학 중 가장 많은 CEO를 배출한 부산대의 약진도 두드러졌다.13일 데이터뉴스가 국내 30대그룹 상장계열사 대표이사의 이력을 분석한 결과, 출신대학(학사 기준)이 파악된 257명 가운데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등 3개 대학 출신이 53.7%인 138명…

- 2021.01.13 08:29:47
대표이미지

광동제약, 0.1%에도 못미친 매출대비 기부금 비중

광동제약이 작년 3분기까지 누적 기준 기부금 규모를 줄인 것으로 집계됐다. 매출대비 기부금 비중은 0.1%에도 못미쳤고, 제약업계에서 유일하게 감소했다.12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주요 제약업체 5곳의 분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광동제약의 기부금 비중이 유일하게 감소했다. 2곳은 유지했고, 2곳은 증가했다. 셀트리온은 기부금을 공시하지 않아…

- 2021.01.12 09:08:06
대표이미지

같은 진단, 다른 처방…삼성·LG 신규임원 늘리고, SK·롯데 줄이고

진단은 같지만 처방은 다르다.연말 정기임원인사에서 공통적으로 불확실한 국내외 경영환경을 언급한 5대 그룹이 신규임원인사를 놓고는 각기 다른 경향을 보였다.11일 데이터뉴스가 5대 그룹이 지난해 말 단행한 2021년도 정기임원인사를 분석한 결과, 삼성과 LG는 신규임원 승진자를 늘린 반면, SK와 롯데는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5대 그룹 모두 이번 인사정책이 현재 경영환경…

- 2021.01.11 08:38: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