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이미지

농가 인구, 20년 간 40% 줄었다

농가 인구가 20년간 40% 감소했다.18일 데이터뉴스가 통계청의 '통계로 본 농업의 구조 변화'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농가 인구는 2000년 357만2000명에서 2019년 214만7000명으로 39.9% 하락했다. 같은 기간농가수도 138만3000가구에서 100만7000가구로 27.2% 감소했다.연령별로는 10대가 가장 많이 감소했다. 2000년 26만2000명에서 2019년 5만4000명으로 79.4…

- 2020.11.18 08:35:03
대표이미지

인명피해 가장 많은 연안사고 유형은 ‘고립’

올 들어 10월까지 인명피해가 가장 많은 연안사고는 고립으로 나타났다.16일 데이터뉴스가 해양경찰청의 '연안사고 현황'을 분석한 결과, 올해 10월 누적 연안사고 인명피해는 총 832명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1% 감소한 수치다.인명피해가 가장 많은 사고 유형은 고립으로 집계됐다. 고립으로 인한 인명피해는 2018년 10월 누적 338명, 2019년 396명, 올해 392명이다. 20…

- 2020.11.16 09:15:18
대표이미지

9월 무인민원발급기 1대당 누적 서류발급 6000건 돌파

올 들어 9월까지 무인민원발급기를 통해 발급된 서류건수가 1대당 6000건을 넘은 것으로 집계됐다. 무인민원발급기는 주민등록등·초본, 가족관계증명서 등 각종 민원서류를 발급받을 수 있는 기계다.10일 데이터뉴스가 행정안전부의 '무인민원발급기 발급건수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읍·면·동 주민센터, 철도역·터미널, 은행·병원 등에 설치된 무인민원발급기를 통한 민원서류…

- 2020.11.10 08:35:33
대표이미지

경기, 지난해 다문화 혼인 300건 늘어…전국 최고

경기도의 다문화 혼인이 전국에서 가장 많이 증가했다.6일 데이터뉴스가 통계청의 '2019년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를 분석한 결과, 전국의 다문화 혼인은 2018년 2만3773건에서 2019년 2만4721건으로 948건 증가했다.경기는 2018년 6605건에서 2019년 6905건으로 300건 증가했다. 전국 시도 중 가장 큰 증가폭이다.경기 뒤를 이은 지역은 서울이다. 2018년 4891건에서 2019…

- 2020.11.06 09:36:13
대표이미지

한국 거주 외국인 근로자 줄고 유학생 늘었다

2019년 11월 한국에서 거주하는 외국인 근로자는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하고, 유학생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30일 데이터뉴스가 행정안전부의 '2019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을 분석한 결과, 2019년 11월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외국인 주민은 221만6612명으로 조사됐다.1년 전(205만4621명)에 비해 7.9% 증가했다.총 인구(5177만9203명)의 4.3%를 차지하며, 충청남도…

- 2020.10.30 08:18:01
대표이미지

주요 건설사 기간제 근로자 비중 계산해보니

삼성물산 건설부문의 6월 말 기준 기간제 근로자 비중이 주요 건설사 가운데 가장 낮았다.전체 직원 가운데 17.6%가 기간제 근로자로, 전년 동기보다 비중을 더 줄였다.26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삼성물산, 현대건설, 대림산업, GS건설, 포스코건설 등 주요 건설사의 반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5개 기업의 올해 6월 말 기준 총 직원 수는 2만9907명으로…

- 2020.10.26 09:09:37
대표이미지

30대그룹 40대 CEO 누구인가 봤더니...2명 중 1명은 오너일가

30대 그룹 상장계열사 40대 젊은 CEO 가운데 2명 중 1명은 오너일가인 것으로 조사됐다.총13명 CEO가 40대 였는데, 이 가운데 6명이 오너일가다.14일 데이터뉴스가 30대 그룹 상장계열사 CEO의 출생연도를 분석한 결과, 총 CEO 257명 가운데 13명(5.1%)가 40대 젊은 CEO로 조사됐다. 13명의 40대 CEO 가운데 6명이 오너일가다.구광모 LG 회장과 조원태 대한항공·한진칼…

- 2020.10.14 08:30:29
대표이미지

영남 아니면 서울...GS그룹 상장사 CEO 고향

GS그룹 상장계열사 CEO 9명의 출신 지역이 진주, 부산, 서울에 쏠린 것으로 나타났다. 영남과 서울 외 타지역은 전무했다.28일 데이터뉴스가 GS그룹 7개 상장계열사의 대표이사 9명의 출신 지역을 조사한 결과, 모두 영남과 서울 태생으로 집계됐다.이 중 영남 지역 출신이 6명(66.7%)으로, 경남 진주와 부산에 집중됐다.사촌간인 허남각 삼양통상 회장(1938년생)과 허창수 GS건설…

- 2020.09.28 08:57:18
대표이미지

한진그룹, 지주사만 빼고 상장사 전체 직원 줄였다

한진그룹 상장계열사 5곳 중 4곳이 직원을 줄였다.24일 데이터뉴스가 한진그룹 상장계열사의 사업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5개 기업의 직원 수가 2019년 6월 말 2만5806명에서 올해 6월 말 2만4983명으로 1년 새 3.2%(823명) 감소했다.직원이 가장 많이 줄어든 곳은 대한항공이다. 지난해 상반기 1만9336명에서 올해 상반기 1만8681명으로 3.4%(655명) 감소했다.대한항공의 사…

- 2020.09.24 08:32:19
대표이미지

40대부터 80대까지…CJ그룹, CEO 연령 스팩트럼 가장 넓었다

CJ그룹 상장계열사 CEO의 나이 스펙트럼이 30대 그룹 중 가장 넓었다. CJ그룹 최고령CEO와 최연소CEO의 나이 차는 36세다.24일 데이터뉴스가 30대 그룹 상장계열사 CEO를 전수조사한 결과,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과 허남각 삼양통상 회장이 최고령 CEO로 조사됐다.정 회장과 허 회장은 모두 82세(1938년생)로 동갑이다.최연소 CEO는 42세(1978년생)인 구광모㈜LG…

- 2020.09.24 08:31:04
대표이미지

삼성그룹 상장사 중 여성이 더 많은 회사...'2곳'은?

삼성그룹 16개 상장계열사 중 멀티캠퍼스, 제일기획 등 2곳이 남성보다 여성직원이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반면, 남성이 월등히 많은 계열사로는 삼성중공업과 에스원이 꼽혔다. 23일 데이터뉴스가 삼성그룹 상장계열사의 사업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6월 말 기준 16개 상장계열사의 남성직원은 14만7448명, 여성직원은 4만8355명으로, 남성이 9만9093명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1…

- 2020.09.23 08:41:59
대표이미지

SK그룹 상장사 CEO, 40%가 경영학 전공

SK그룹 상장계열사 CEO 40%가 경영학과 출신으로 나타났다.21일 데이터뉴스가 SK그룹 상장사 대표이사 25명의 출신 학과(학사 기준)를 분석한 결과, 15명(40%)이 인문계열 학과 전공자로 분류됐다.경영학을 전공한 CEO가 10명으로 가장 많았고, 경제학 전공자가 2명이었으며, 독어독문학과, 사법학과, 심리학과 출신이 각각 1명으로 집계됐다.경영학을 전공한 CEO 중 4명(…

- 2020.09.21 08:52:34
대표이미지

'경영학' 천하 현대백화점그룹...CEO 60%가 경영학 출신

현대백화점그룹 상장계열사 CEO 10명 중 6명이 경영학도로 집계됐다. 30대 그룹 중 경영학과 출신 CEO 비율이 가장 높다.17일 데이터뉴스가 30대 그룹 상장계열사 대표이사의 학력을 분석한 결과, 전공학과가 파악된 CEO 237명의 23.6%인 56명이 경영학(학사 기준)을 전공한 것으로 집계됐다.경제학(26명, 10.5%), 기계공학(14명, 5.6%), 전자공학(11명, 4.4%)도 전공한 CE…

- 2020.09.17 08:43:14
대표이미지

1조3000억 들여 국산화해 놓고…관용헬기 국산 10% 불과

정부와 민간이 합작해 1조3000억 원을 들여 개발한 국산 헬기 ‘수리온’이 정작 정부공공기관에서 외면받고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1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현재 경찰, 산림, 소방 등 5개 기관에서 운용하고 있는 121대의 관용 헬기 중 국산 헬기는 12대(9.9%)에 그치고 있다.경찰청이 21대 운용 헬기 중 중 8대(38.1%)의 국산 헬기를 사용하고 있고, 해경이…

- 2020.09.15 08:28:53
대표이미지

사회적기업 근로자 5만명 넘었다…취약계층이 60% 차지

사회적기업 종사 근로자가 처음으로 5만 명을 넘어섰다.11일 데이터뉴스가 고용노동부의 '사회적기업 인증 결과 발표'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가2016년 3만9195명, 2017년 4만1917명, 2018년 4만2742명, 2019년 4만7322명, 2020년 9월 5만479명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올해 사회적기업의 근로자는 지난해보다 6.7%(3157명) 늘었다…

- 2020.09.11 10:44: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