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이미지

에어부산, 5년간 실적 내리막…부채비율도 최고

에어부산의 영업실적이 갈수록 나빠지고 있다. 최근 5년간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매년 감소하다 2019년 적자전환에 이어 2020년엔 적자폭을 크게 키웠다.부채비율 역시 큰 폭으로 늘었다.4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에어부산의 잠정 실적을 분석한 결과, 2020년 매출이 2016년 대비 57.2% 감소했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적자 전환됐다.이 회사…

- 2021.03.04 08:50:53
대표이미지

현대바이오랜드, 현대백화점그룹 편입 첫해 적자전환

현대백화점그룹이 지난해 SKC로부터 인수한현대바이오랜드가 적자로 돌아섰다. 배당금도 70% 이상 줄었다.4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현대백화점그룹 8개 상장계열사의 실적을 분석한 결과, 이들 8개 기업은 2020년 총 매출 11조486억 원, 총 영업이익 5230억 원, 총 당기순이익 3370억 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2019년에 비해 3.5%(3732억 원) 증가…

- 2021.03.04 08:50:21
대표이미지

삼성 상장계열사, 코로나19 와중에 1년간 영업이익 25.8%↑

삼성그룹 상장계열사들이 코로나19 속에서도 1년간 영업이익을25.8%나 늘렸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이익 증가율이 가장 컸고, 영업이익 규모로는 삼성전자가 가장 컸다.3일 데이터뉴스가 삼성그룹 상장사 16개의 연간 영업이익을 분석한 결과, 2019년 34조4976억 원에서 2020년 43조3849억 원으로 25.8% 증가했다.영업이익이 증가한 기업은 9개다.삼성바이오로직스의 영업이…

- 2021.03.03 09:06:51
대표이미지

DL이앤씨, 2년연속 영업이익 '1조 클럽'…마창민 대표 체제 주목

DL이앤씨(분할 전 대림산업)가영업이익을 늘리며 2년 연속 영업익 1조 클럽에 이름을 올렸다. 자회사대림건설이 주택 사업으로 이익을 대폭 늘린 게 주효했다.3일 데이터뉴스가 DL이앤씨의 IR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기업의 2020년 연간 매출은 10조2650억 원으로 집계됐다. 직전년도(9조7001억 원) 대비 5.8% 늘었다.영업이익은 1조1301억 원에서 1조1781억 원으로 4.2% 증…

- 2021.03.03 08:55:14
대표이미지

코웨이, '밖'에서도 '인기몰이' 중…해외 매출 38.4%↑

코웨이의 해외 연간 매출이 38.4% 증가했다. 해외 시장 공략이 성공적이었다는 평이다. 이 회사는 국내 환경가전 시장이 포화상태에 다다르자 발 빠르게 해외로 사업을 돌렸다.3일 데이터뉴스가 코웨이의 IR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체 매출이 2019년 3조189억 원에서 2020년 3조2374억 원으로 7.2% 증가했다.이 가운데 해외 매출은 2019년 6476억 원에서 2020년 8961억 원으로 3…

- 2021.03.03 08:54:47
대표이미지

한국타이어만 영업이익 늘렸다

한국타이어가 타이어업계 중 유일하게 영업이익을 늘렸다. 코로나19로 인한 수요 감소를 딛고 두자릿수 영업이익 증가율을 기록했다. 2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타이어업계 3사의 잠정 실적(연결 기준)을 분석한 결과, 2020년 합계 기준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이 10조3228억 원, 7035억 원, 3192억 원으로 집계됐다. 직전년도(11조2748억 원, 8088억…

- 2021.03.02 08:55:30
대표이미지

CJ제일제당, 빛 나는 바이오…올해도 성장세 이어간다

CJ제일제당의 4분기 매출이 4.5% 증가했다.바이오 사업부문이 빛을 발했다.2일 데이터뉴스가 CJ제일제당의 IR자료를 분석한 결과, 자회사 CJ대한통운 실적을 제외한 4분기(10~12월) 매출이 2019년 3조3236억 원에서 2020년 3조4728억 원으로 4.5% 상승했다.바이오 사업부문(바이오·FC) 매출이 2019년 1조2131억 원에서 2020년 1조3448억 원으로 10.9% 증가했다. 주요…

- 2021.03.02 08:53:07
대표이미지

삼성그룹, 배당 성향 27.0%p 늘었다

삼성그룹 상장계열사 배당 성향이 27.0%p 늘었다.26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삼성그룹 상장사 13곳의 배당금을 분석한 결과, 배당 성향이 2019년 42.5%에서 2020년 69.5%로 27.0%p 증가했다.배당 성향은 총 배당금을 당기순이익으로 나눈 비율이다. 일반적으로 배당 성향이 높은 회사는 투자가치가 높다고 해석된다.삼성중공업, 삼성바이오로직…

- 2021.02.26 11:13:43
대표이미지

항공업계 CEO 평균 연령 56.6세…경영학 42.9% 차지

주요 항공업체 대표이사 평균 연령이 56.6세로 집계됐다.1976년생 조원태 대한항공 대표를 비롯해 1960년대생이 집중돼 타 업종에 비해 평균연령이 낮은 편이다. 26일 데이터뉴스가 주요 항공업체 대표이사 7명의 연령을 분석한 결과, 평균 연령이 56.6세로 나타났다.이 가운데 최연소 대표이사는 45세인 조원태 대한항공 대표다. 평균 연령과 11.6세 차이가 난다. 조 대표는 주요 항…

- 2021.02.26 08:57:09
대표이미지

장세욱 동국제강 대표, 역대 최대 영업이익…취임 이후 74.0%↑

동국제강의 연간 영업이익이 장세욱 대표 체제서 최고치를 기록했다. 봉형강과 냉연판재류, 컬러강판 등을 중심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재편하면서 수익성 제고에 힘쓴 것이 주요했다는 분석이다.26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동국제강의 연결재무제표기준 잠정실적을 분석한 결과, 2020년 연간 영업이익이 2947억 원으로 집계됐다. 장세욱 대표 체제서…

- 2021.02.26 08:56:32
대표이미지

롯데 상장사 영업이익 성적 봤더니…롯데케미칼 최악

롯데그룹 상장사 8곳 중 6곳의 지난해 영업이익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석유화학 계열사인 롯데케미칼의 감소폭이 가장 컸다.25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롯데그룹 상장계열사 8곳의 실적을 분석한 결과, 이들 기업의 2020년 영업이익 합계는 1조2928억 원으로 집계됐다. 2019년(2조1304억 원)에 비해 39.3%(8376억 원) 감소했다.특히 롯데케미…

- 2021.02.25 08:34:27
대표이미지

이주희 신세계건설 대표, 만성적자 레저부문 해결할까

신세계건설이 지난해 연말 임원인사서 레저부문 대표를 교체했다. 레저부문은 연간 기준으로 수년째 적자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새 수장으로 임명된 이주희 대표가 레저부문을 정상화시킬 수 있을지 주목된다.25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신세계건설의 연결재무제표기준 잠정실적을 분석한 결과, 이 기업의 2020년 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은 9658억 원…

- 2021.02.25 08:28:37
대표이미지

30대그룹 상장사, 상반기 부진 하반기에 대부분 만회

주요 기업들이 코로나19로 인한 상반기 실적 부진을 하반기에 대거 만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와 금융업종이 큰 폭의 성장세를 기록한 반면, 정유와 항공업종의 실적 하락이 두드러졌다.25일 데이터뉴스가 30대그룹 상장계열사 중 2020년 실적을 발표한 176개 기업을 분석한 결과, 이들 기업의 2020년 매출 합계는 1581조526억 원으로, 전년(1620조6941억 원)보다 2.4%(39조…

- 2021.02.25 08:26:57
대표이미지

배당에 인색해진 정유업계...실적악화 직격탄

정유업계 실적악화가 배당금 축소로 이어지고 있다.업계 1위 SK이노베이션은중간 배당과 기말 배당을 모두 하지 않았다.에쓰오일은 중간 배당 미 시행에 이어, 기말 배당은 아직 결정하지 않았다.GS칼텍스와 현대오일뱅크 역시 배당에 대해 아직 결정된 바 없다고 밝혔다.24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SK이노베이션과 에쓰오일의 잠정 실적(연결 기준)을…

- 2021.02.24 08:34:58
대표이미지

황영근 롯데하이마트 대표, 기대 충족시킨 첫 성적

황영근 롯데하이마트 대표가 기대를 저버리지 않았다. 황 대표는 2020년 8월 취임, 첫 성적표로 안정적인 4분기 실적을 내 놨다. 영업이익은 160% 늘렸고, 당기순이익 적자폭을 크게 줄였다. 24일 데이터뉴스가 롯데하이마트의 IR실적을 분석한 결과, 4분기(10~12월) 매출이 황영근 대표 취임 전인 2019년 9350억 원에서 취임 후 2020년 9634억 원으로 3.0% 증가했다.프리미엄 대…

- 2021.02.24 08:33:5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