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호나이스, 영업이익률 13.6%로 상승…현금흐름은↓

지난해 영업이익률 5년 중 최고…현금흐름 전년 대비 54억 감소한 100억 원

  • 카카오공유 
  • 메타공유 
  • X공유 
  • 네이버밴드 공유 
  •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목록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취재]청호나이스, 단기 실적은 개선…렌탈 축소로 장기 성장은 빨간불
청호나이스의 영업이익은 증가했지만,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전년 대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데이터뉴스가 청호나이스의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청호나이스의 감사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영업이익률은 2024년 약 13.6%로 5년 내 최고 수준을 기록했지만,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1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54억 원 감소했다.

청호나이스의 전체 매출은 2020년 4187억 원에서 2024년 4782억 원으로 14.2% 늘었으며, 감사보고서상 매출 구성은 변화가 있었다.

일시불 판매(제품·상품·부품) 매출은 1547억 원에서 2332억 원으로 늘어나며 비중은 37.0%에서 48.8%로 확대됐다. 반면, 렌탈·서비스(용역) 매출은 2604억 원에서 2225억 원으로 줄어들며 비중이 62.2%에서 46.5%로 축소됐다.

세부적으로 렌탈 매출은 2043억 원에서 928억 원으로 54.6% 감소한 반면, 용역 매출은 561억 원에서 1297억 원으로 131.2% 증가했다. 신규 렌탈 계약은 줄고, 기존 고객 유지·관리 중심으로 사업이 전환된 것으로 풀이된다.

렌탈은 계약 기간에 따라 분할 인식돼 꾸준한 현금이 유입된다. 반면, 일시불 판매는 판매 즉시 매출이 인식돼 단기 실적 개선에는 유리하지만, 재구매 주기가 길고 유지관리 매출은 제한적이며 미리 재고를 쌓아야하는 부담이 생긴다.

이에 대해 청호나이스 관계자는 “감사보고서상 ‘렌탈매출’은 운용리스 방식으로 인식된 수익이며, 최근에는 금융리스로 회계기준이 바뀌면서 렌탈료가 일시불 판매와 서비스 매출로 나눠 인식되고 있다”며 “실제 렌탈 매출이 훨씬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청호나이스 측은 렌탈·서비스 매출의 구체적인 규모나 실제 비중은 공개하지 않았다.

회계기준이 금융리스로 전환되면 고객의 분할 납부 기간 동안 현금 유입은 뒤로 밀리는 반면, 계약 시점에 전체 매출(매출채권)이 회계상 먼저 인식된다.

실제 청호나이스의 2024년 매출채권은 전년 대비 106억 원 증가했고, 재고자산도 197억 원 늘었다. 이에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54억 원 감소한 것으로 해석된다.

청호나이스 관계자는 "매출채권이 늘어나도 그만큼 렌탈 입금액이 들어오기 때문에 현금흐름에 문제가 있진 않다"고 말했다.

박혜연 기자 phy@data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