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유상증자 논란으로 한화그룹의 경영권 승계작업이 대폭 앞당겨졌다. 이에 따라 김승연 회장의 세 아들을 중심으로 한 계열분리에 관심이 쏠린다.
8일 데이터뉴스 취재를 종합해보면, ㈜한화는 지난달 31일 김승연 회장, 김동관 부회장, 김동원 사장, 김동선 부사장을 보고자로 한 임원·주요주주 특정 증권 등 거래계획보고서를 공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김 회장이 보유한 ㈜한화 지분 22.65% 가운데 11.32%를 세 아들에게 증여한다. 증여 지분은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4.86%, 김동원 한화생명 사장과 김동선 한화갤러리아 부사장이 3.23%씩이다.
증여 후 그룹 지주사격인 ㈜한화의 지분율은 김승연 회장이 11.33%, 김동관 부회장 9.77%, 김동원 사장 5.37%, 김동선 부사장 5.37%로 조정된다.
여기에 세 아들이 ㈜한화 지분을 22.16% 보유한 한화에너지의 지분 100%를 갖고 있어 이번 지분 증여로 세 아들의 ㈜한화 지분율은 42.67%가 돼 경영권 승계가 완료된다.
한화그룹의 경영권 승계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대규모 유상증자 논란으로 예상보다 빨라졌다.
지난달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국내 자본시장 사상 최대인 3조6000억 원(시설자금 1조2000억 원, 타법인 취득자금 2조4000억 원) 규모의 유상증자 계획을 발표했다. 앞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삼형제가 지분을 나눠 갖고 있는 한화에너지 등이 보유한 한화오션 지분 7.3%를 1조3000억 원에 사들인 것과 맞물려 논란이 커졌다.
㈜한화는 김승연 회장이 경영권 승계와 관련한 논란과 오해를 해소하고 본연의 사업에 집중하기 위해 지분 증여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정상적이고 필수적 사업 활동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유상증자 및 한화오션 지분 인수가 승계와 연관되지 않도록 차단하기 위한 것이라며, 이번 증여로 승계가 완료돼 시급하고 절실한 대규모 해외 투자 목적의 유상증자를 승계와 연결시키는 억측이 불식될 것이라는 게 ㈜한화 측 입장이다.
경영권 승계가 빨라지면서 계열분리 가능성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현재 첫째인 김동관 부회장은 ㈜한화 전략부문 대표이사,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이사, 한화솔루션 대표이사, 한화오션 기타비상무이사, 한화임팩트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
둘째인 김동원 사장은 한화생명 최고글로벌책임자를 맡고 있다. 셋째인 김동선 부사장은 한화갤러리아 미래비전총괄, ㈜한화 건설부문 해외사업본부장, 한화호텔앤드리조트 미래비전총괄, 한화로보틱스 미래비전총괄, 한화비전 미래비전총괄, 한화모멘텀 미래비전총괄을 맡고 있다.
자연스럽게 김동관 부회장이 방산, 조선, 에너지를, 김동원 사장이 금융을, 김동선 부사장이 유통, 로봇, 반도체장비를 중심으로 계열분리를 추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김동관 부회장은 한화에너지 지분(50%)을 ㈜한화 지분으로 환산하면 ㈜한화 지분 20.85%를 보유한 최대 주주가 된다. 이를 통해 김동관 부회장은 지주사격인 ㈜한화 지분을 바탕으로 그룹 내 입지가 확고해지고 그가 맡고 있는 방산·조선·에너지 사업에 대한 통제력도 커지게 된다.
김동원 사장은 한화생명을 중심으로 금융 부문의 계열분리를 추진할 수 있다. 다만, 그가 보유한 한화생명 지분이 0.03%에 그치는 것이 문제다. 이에 따라 한화에너지를 상장시켜 자금 확보를 추진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김동선 부사장은 한화갤러리아를 정점으로 한 계열분리를 진행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현재 한화갤러리아의 1대 주주는 지분 24.92%를 보유한 ㈜한화이고, 김 부사장은 16.85%를 보유해 2대 주주에 올라 있다.
강동식 기자 lavita@datanews.co.kr
[ⓒ데이터저널리즘의 중심 데이터뉴스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