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클라우드 선도기업 메가존클라우드(대표 염동훈)는 우리은행의 ‘그룹공동 클라우드 플랫폼 구축’ 사업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27일 밝혔다.
우리은행의 그룹공동 클라우드 플랫폼 구축은 내부 개발·운영을 지원하는 서비스형 플랫폼(PaaS)과 외부 인프라 및 신기술을 활용하는 퍼블릭 클라우드를 통합 운영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는 사업이다.
우리은행은 2019년부터 우리금융그룹 전반에 클라우드 환경을 단계적으로 구축해왔으며, 현재 우리WON지갑과 오픈API 서비스 등 130여 개 업무를 클라우드 기반에서 운영하고 있다.
메가존클라우드는 이번 프로젝트에서 클라우드 플랫폼 구축의 최종 단계를 담당해 PaaS 환경을 구축하고 퍼블릭 클라우드 활용을 위한 거버넌스 체계를 확립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지난해 9월부터 1년간 진행됐으며, 메가존클라우드는 금융업에 요구되는 엄격한 보안 요건을 충족하면서도 디지털 서비스를 빠르게 개발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했다.
메가존클라우드는 설계부터 구축, 운영관리 체계 수립까지 전 과정을 총괄하며 클라우드 자원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 포털 구축, 거버넌스 체계 마련 등 우리은행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핵심 기반을 마련했다.
PaaS 환경은 글로벌 기준으로 안정성이 입증된 레드햇의 ‘오픈시프트(OpenShift)’ 기반으로 구현됐으며, 이를 관리할 수 있는 포털과 개발·배포를 위한 자동화 환경까지 포함해 완전한 플랫폼 체계를 완성했다.
또 메가존클라우드는 이번 프로젝트에 시중은행 최초로 금융감독기관의 요건에 충족하는 CI·CD(지속적 통합·배포)를 구축했다.
CI·CD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배포하는 전 과정을 자동화하는 기술로, 개발자가 코드를 작성하면 테스트, 승인, 배포까지 자동으로 처리한다. 이를 통해 서비스 배포 속도를 단축하고 오류나 보안 문제는 사전에 차단할 수 있게 됐다.
아울러 메가존클라우드는 금융권의 까다로운 보안·규제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 퍼블릭 클라우드 기반의 거버넌스 체계를 직접 설계·구축했다. 우리은행의 표준 보안 정책은 물론 ISMS-P, ISO27001 등 국내외 인증 기준을 반영해 은행이 안심하고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는 최적화된 보안·운영 관리체계를 마련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이번 그룹공동 클라우드 플랫폼 구축은 단순한 IT 인프라 도입이 아니라 우리은행이 디지털 금융 서비스를 한층 빠르고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메가존클라우드의 전문적인 지원을 통해 개발과 운영의 효율성을 높였고, 이를 바탕으로 그룹 차원의 디지털 혁신을 가속화하며 금융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황인철 메가존클라우드 CRO(Chief Revenue Officer)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우리은행이 우리금융 계열사의 다양한 요구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며 “우리은행의 디지털 전환 과정에 함께하며 쌓은 경험을 토대로, 앞으로도 금융권 고객이 안정성과 민첩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도록 최적의 클라우드 기술과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강동식 기자 lavita@datanews.co.kr
[ⓒ데이터저널리즘의 중심 데이터뉴스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