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소정보기술-강북삼성병원, 페놈데이터 기반 맞춤형 헬스케어 맞손

페놈데이터 기반 AI 생애 전주기 예측기술 국가연구개발사업 착수…150만 명 페놈데이터 통해 비만·당뇨병등 예측모델 개발

  • 카카오공유 
  • 메타공유 
  • X공유 
  • 네이버밴드 공유 
  •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목록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미소정보기술-강북삼성병원, 페놈데이터 기반 맞춤형 헬스케어 맞손

▲AI 기반 맞춤형 케어 서비스 융합 선도사업 컨소시엄 출범식에서 (앞줄 왼쪽 두번째 미소정보기술 남상도 CEO(앞줄 왼쪽 두 번째), 손진호 CTO(두 번째 줄 왼쪽 두 번째) 등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사진=미소정보기술


멀티모달 데이터 플랫폼 전문기업 미소정보기술(대표 남상도)은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원장 신현철)과 함께 세계 최대 규모인 150만 명 페놈데이터(Phenom Data)를 기반으로 맞춤형 헬스케어 기술 개발에 착수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지원하는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개인의 유전체(Genome), 환경, 생활습관 등 다양한 요인과 상호작용해 나타나는 생리적·생물학적 특성 데이터를 통합·활용한다. 이를 통해 청년 및 중·장년층을 위한 AI 기반 맞춤형 건강관리 플랫폼을 구축할 예정이다.

특히 150만 명 규모의 페놈데이터를 활용해 비만, 대사성 간질환, 고혈압, 당뇨병 등 주요 만성질환의 예측 모델을 개발한다. 또 에이전틱(Agentic) AI 기반 ‘생활 밀착형 스마트 데일리케어 서비스’와 질환 특화 지능형 라이프케어 서비스로 확장함으로써 정밀의료와 예방 중심 헬스케어를 실현하고 의료비 절감 및 시스템 효율화를 이끌 전망이다.

미소정보기술-강북삼성병원, 페놈데이터 기반 맞춤형 헬스케어 맞손
미소정보기술은 ▲헬스케어 멀티모달 데이터 플랫폼 ▲헬스데이터 유통 ▲다기관 의료데이터 연계 플랫폼 등 의료 데이터 아키텍처링 역량을 기반으로, 초개인화 헬스케어 플랫폼, 연합학습(FL)을 위한 클라우드 AI 플랫폼, 에이전틱 AI 기반 코칭 서비스 엔진을 개발할 계획이다.

강북삼성병원은 국내 최고 수준의 임상 데이터와 연구 인프라를 활용, 다중 데이터 수집·임상 검증·예측 알고리즘 적용 및 환자 중심 디지털 헬스케어 모델 구축을 담당한다. 

주관기관으로서 산·학·연·병 협력체계를 구축해 기술개발은 물론 사업화 성과 창출과 K-헬스케어의 글로벌 확산에도 기여할 예정이다. 

이번 사업에는 미소정보기술과 삼성전자 외에도 성균관의대, 서울성모병원, 네이버클라우드, 마크로젠, 웨이센, 디지털팜 등 국내 유수 기관이 컨소시엄으로 참여한다.

남상도 미소정보기술 대표는 “의료데이터와 AI 융합을 통해 국민 건강을 전주기적으로 예측·관리하는 혁신적 연구”라며 “강북삼성병원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의료데이터 통합 및 AI 분야의 새로운 글로벌 표준을 제시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가 성과를 거둘 경우 환자 맞춤형 질환 예측과 조기 진단이 가능해져 국민 건강 수준 향상과 의료비 절감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 나아가 글로벌 수준의 AI 생애주기 K-헬스케어 모델 확보도 가능할 전망이다.

한편, 미소정보기술은 최근 열린 강원의료기기전시회(GMES 2025)에서 헬스데이터 유통 플랫폼을 선보이며, 국내는 물론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 등 해외 바이어들의 큰 관심을 받았다. 이 플랫폼은 병원 내·외부에 분산된 의료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통합·관리해 의료기관의 운영 효율성을 높여준다. 

또 미소정보기술은 에이전틱 AI를 기반으로 제조·건설·자동차·반도체 등 다양한 산업에 AI팩토리와 자율공정제어, 중대재해 예방, 지식자산화 시스템을 제공하며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강동식 기자 lavita@data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