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 데이터 플랫폼 기업 쿠콘(대표 김종현)은 2025년 2분기 연결 기준 매출 167억3000만 원, 영업이익 46억6000만 원을 기록했다고 18일 밝혔다. 매출은 전분기 대비 3.3% 감소하고, 영업이익은 6.3% 증가했다.
2025년 상반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6% 감소한 340억4000만 원을 기록하고, 영업이익은 14.9% 증가한 90억5000만 원을 달성했다. 수익성 높은 서비스 중심의 매출 성장으로 영업이익이 개선됐다. 이는 대규모 일회성 프로젝트를 지양하고 수수료 매출 중심의 안정적인 사업구조로의 전환 때문이다.
2분기 사업 부문별 매출은 데이터 사업 85억1000만 원, 페이먼트 사업 82억2000만 원으로, 두 사업 간 균형 잡힌 성장세를 보였다. 카드사, 빅테크 등 대형 고객사를 대상으로 비대면 서류 제출 API, 소유자검증 차량정보 조회 API, 컴플라이언스(AML, e-KYC) 서비스 판매가 증가하면서 전분기 대비 매출이 개선됐다.
신규 API 영업 확대를 통한 수수료 매출 실적도 증가했다. 특히 SK텔레콤 유심 개인정보 유출 등 보안 이슈가 발생하면서 간편 인증 API에 대한 시장 수요가 급증한 점도 성장에 기여했다.
글로벌 페이 서비스는 8월 말 유니온페이, 9월 위챗페이 오픈을 시작으로 하반기에 인도네시아 중앙은행, 리퀴드 등 글로벌 페이사와 제휴해 해외 관광객이 국내 가맹점에서 기존 페이 서비스를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싱가포르, 일본,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주요 핀테크 허브 시장 선점도 추진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 진출도 가속화한다. 쿠콘은 지난해에 이어 오는 11월 싱가포르 핀테크 페스티벌에 참가해 글로벌 페이 및 스테이블코인 분야의 파트너사와 전략적 제휴를 모색할 예정이다. 이로써 아시아 핀테크 허브 시장 내 입지를 강화해 글로벌 결제·스테이블코인 인프라 핵심 사업자로 자리매김하겠다는 방침이다.
또 스테이블코인 지급결제 사업 추진을 위해 관련 업체와 다양한 협업을 검토하고 있다. 쿠콘이 가진 결제 인프라에 스테이블코인을 반영해 외국인들의 국내 소비를 간편하게 지원하고, 관련 법·제도가 마련되면 글로벌 결제 유통망을 즉시 활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
김종현 쿠콘 대표는 “수익성과 수요가 높은 데이터 서비스를 주력해 영업이익 성장률을 지속적으로 개선할 것이며, 업권별 다양한 데이터 API 수요에 맞춰 신규 상품 출시, 글로벌 페이 및 스테이블코인 유통 인프라 구축 등 신사업에 투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강동식 기자 lavita@datanews.co.kr
[ⓒ데이터저널리즘의 중심 데이터뉴스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