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래프톤(대표 김창한)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을 적용한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2025년 상반기 매출 1조5362억 원, 영업이익 7033억 원을 기록하며 반기 사상 최고치를 달성했다고 29일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11.9%, 9.5% 증가했다. 2분기 매출은 6620억 원, 영업이익은 2460억 원이다.
상반기 사업 부문별 매출은 ▲PC 5432억 원 ▲모바일 9600억 원 ▲콘솔·기타 330억 원이다.
PC 플랫폼에서는 ‘PUBG: 배틀그라운드’ IP 중심의 성장세가 이어졌다. 지난 4월 캐릭터 업그레이드 시스템 ‘컨텐더’를 도입하는 등 콘텐츠 다각화를 포함한 강력한 라이브 서비스가 주효했다.
모바일 부문 역시 X-Suit 등 성장형 스킨으로 유저의 호응을 끌어내며 매출에 기여했다.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인도(BGMI)’는 인도의 유명 기업들과 협업을 통해 온오프라인 전반에 걸친 브랜드 확장을 진행하고 있으며, 유저 맞춤형 마케팅 콘텐츠를 준비하는 등 현지 최적화 전략을 통해 BGMI 이용자 저변을 확대하고 있다.
하반기에는 프랑스 최고급 자동차 브랜드 ‘부가티’와 세계적 아티스트 ‘에스파’ 등 글로벌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IP와의 고가치 컬래버레이션으로 게임 이상의 문화적 경험을 제공하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또 배틀그라운드 IP의 플랫폼 및 장르 확장도 본격화한다. 톱다운 전술 슈팅 신작 ‘PUBG: 블라인드스팟’은 8월 독일에서 개최하는 게임스컴을 통해 글로벌 이용자들에게 선보이며, 익스트랙션 슈팅 장르 ‘프로젝트 블랙버짓’은 하반기 비공개 알파 테스트를 앞두고 있다.
크래프톤은 IP의 글로벌 성공을 견인할 핵심 전략으로 퍼블리싱을 강조하며, 신규 프랜차이즈 IP 발굴에 적극 투자하고 있다.
연초 제시한 ‘빅 프랜차이즈 IP’ 확보를 통한 5개년 중장기 계획에 맞춰 우수한 제작 리더십과 개발팀을 확보하고 총 13개 게임을 포함한 신작 파이프라인을 가동 중이다. 앞으로도 장르와 지역을 넘어 신규 IP에 대한 투자, 자체 제작 스튜디오 확대 등을 통해 IP 라인업을 계속 넓혀 나갈 방침이다.
퍼블리싱 전략 고도화를 통한 IP 성장에도 박차를 가한다. 특히 유연하고 확장성 높은 세컨드 파티 퍼블리싱(2PP) 체계를 구축한다.
지난 25일 체험판을 공개한 EF 게임즈의 차량 기반 아레나 배틀 장르 ‘라이벌즈 호버 리그’를 비롯해 다수의 2PP를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내부 개발과 함께 외부 파트너와의 협업까지 아우를 수 있는 구조를 모색할 예정이다.
크래프톤은 ‘인조이’를 글로벌 장기 서비스로 안착시키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며 퍼블리싱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지역 맞춤형 퍼블리싱과 글로벌 플레이어 커뮤니티 중심의 전략을 통해 이용자 후기를 확산하고 신뢰를 구축해 나갈 방침이다.
강동식 기자 lavita@datanews.co.kr
[ⓒ데이터저널리즘의 중심 데이터뉴스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