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창규 칼럼] “한국은 일본, 중앙청은 日, 서울시청은 本이다”

  • 카카오공유 
  • 메타공유 
  • X공유 
  • 네이버밴드 공유 
  •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목록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오창규 데이터뉴스 대표

“한국은 일본이었다. 하늘에서 보면 중앙청이 日자이고, 서울 시청이 本자다. 이는 일본이 한국은 일본이라는 뜻에서 일제시대 지은 건물이다.”

1982년쯤의 일이다. 대학에서 교양과목 듣던 중 놀라운 일이 벌어졌다. 일본인 강사가 수업 도중 아무 거리낌 없이 이같이 말을 했다. 필자는 바로 “바가야로! 난이오 얏데 이루노?(멍청이! 지금 무슨 소리 하는거냐?)”하고 소리쳤다. 수업은 정상대로 진행되지 못했다.

10여년 지난 후 1992년 대선에 성공한 김영삼 대통령은 1993년 일제의 한국 지배 상징인 조선총독부 일명 중앙청을 철거하겠다고 선언했다. 고풍스런 건물을 허무는데 안타까워하는 사람도 있었다. 그러나 많은 갈채를 받았다. 중앙청은 과거 35년간 한반도를 강제 지배해온 상징이기 때문이다. 일본은 조선을 접수하자마자 경복궁 앞에 조선총독부 청사를 지었다. 이는 당시 총독이던 데라우치 마사타케(寺內正毅)의 강력한 의견에 의해 결정됐다. 총독은 의도적으로 경복궁, 그것도 조선의 임금들이 정사를 돌보던 근정전의 정면을 막아서는 위치에 청사를 지었다. 

그 후 29년이 흐른 지금. 다시 광화문 한복판에서 또다시 일제 잔재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발단은 이달 6일 재개장한 광화문광장 버스정류장에 조선총독부가 포함된 그림이 설치로 비롯됐다. 일제강점기 당시 광장 모습을 담은 것이다. 서울시는 세종문화회관 버스정류장 기둥 벽에는 조선시대부터 일제강점기, 2009년, 2022년에 걸친 광장의 변천 과정을 그린 포스터를 걸었다. 일부 네티즌들은 그림의 분홍색 원이 일장기를 연상케 한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서울시 측은 “아픈 역사를 넘어 극복과 변화의 과정을 보여주고자 했던 의도였다”며 “분홍색 원은 일본(태양)을 상징하는 것이 아니고 인접해 있는 2개의 사각형과 함께 길과 문을 사각과 원의 형태로 디자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여론을 의식, 해당 그림을 철거한다고 덧붙였다.

헛웃음이 난다. 아픈 역사를 아예 보기 싫다는 네티즌도 문제다. 하지만 그렇다고 포스터를 철거하는 서울시 정책도 한심하다. 진정한 일제 잔재 청산이 무엇인지 곰곰이 생각해보자. 우선 중앙청 철거는 옳았다고 본다. 그렇다면 일본의 本를 상징하는 시청을 제대로 철거하지 않은 건 무엇인가. 김영삼 정권 역시 이를 몰랐을 것이다. 서울시청 신청사는 2005년 이명박 시장 시절 신청사 건립을 추진, 2006년 5월에 공사를 시작, 2012년 8월에 완공됐다. 2125억원을 들여 지은 이 건물은 효율성과 디자인 면에서 많은 빈축을 샀다. 지금도 서울시 공무원들은 공간이 좁아 많은 직원들이 뿔뿔이 흩어져 근무하고 있다. 두고두고 한탄할 일이다.

이 같은 사태가 벌어진 데는 시민단체의 탓도 컸다. 또 또 역사를 제대로 모르는 문화재위원회의 사적 가지정 결정이 결정적이었다. 결국 건물 일부를 남겨놓는 선에서 타협이 이뤄졌다.  볼썽사나운 반쪽짜리 시청 건물이 들어서게 됐다. 

지금도 本자 쪼가리를 보노라면 화가 치민다. 그들말대로 문화재라면 아예 옛 건물 그대로 두어야 옳다. 김영삼 대통령이 헐어버린 중앙청 즉 日자도 복원해야 마땅하다. 지금이라도 本자 쪼가리를 헐어버려야 한다. 

차제에 진정한 일제 청산이 무엇인지 깊이 생각해보자. 일본은 3·1 독립운동 이후 ‘문화통치’를 내세우며 부임한 일제 제2대 총독 사이토 마코토는 한국인을 반(半)일본인으로 만드는 작업에 착수했다.

‘조선인 교육시책’이 그것이다. 

“첫째, 조선인들이 자신의 역사·전통을 알지 못하게 해 민족혼과 민족문화를 상실케 만든다. 둘째, 그들의 선조와 선인들의 무위·무능과 악행·폐풍 등을 들춰내고 과장해 그 후손들에게 가르침으로써 자신들의 조상을 경멸하는 감정을 갖게 한다. 셋째, 그런 후에 일본의 사적·인물·문화를 소개한다.”

이어 만들어진 것이 조선사편찬위원회다. 위원회 멤버 역시 기가차다. 매국의 대가로 400만환(쌀 60만가마)과 200만환을 각각 받은 것으로 알려진 이완용과 박영효 등이 고문으로, 이병도가 편수위원으로 참가했기 때문이다. 이들에게 시달된 한국사 편찬 원칙 역시 계획적이다. “첫째, 편년제로 하고, 둘째, 전편을 상고삼한·통일후의 신라·고려·조선·근세사의 6편으로 하며, 셋째, 민족국가를 이룩하기까지의 민족의 기원과 그 발달에 관한 조선 고유의 사화·사설 등은 일절 무시하고 오로지 기록에 있는 사료에만 의존한다.”

사료 수집 역시 노골적이었다. ‘공명 적확’하게 편찬한다는 미명아래 전국에 걸쳐 수색에 나선 것이다. 각 도청과 군청, 경찰서 등을 동원, 압수수색까지 벌였다. 2차 수색에서는 역사와 전통, 문화, 예술, 인물 등과 관련이 있는 전기와 열전, 충의록, 무용전까지도 수거해갔다. 그러나 이들 자료는 거의 역사편찬 자료로 쓰이지 않고, 불태워지거나 일본으로 반출됐다고 한다.

단재 신채호는 ‘조선상고사’에서 “조선의 보장(寶藏)들을 남김없이 다 가져가서 어둠 속에 썩히고 있음은 통탄스럽고 애석하지 않을 수 없다”고 한탄했다. 일본 황실 도서관인 궁내청 쇼로부(書陵部)에 한국고서적 26만여권이 깊이 감춰져 있다고 밝혔다. 그는 김부식의 삼국사기와 일연의 삼국유사가 살아남은 것은 당(唐)의 사료를 바탕으로 철저히 신라입장에서 쓴, 그들의 입맛에 맞는 책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해방된 지 74년이 됐음에도 그들이 짜놓은 역사 프레임은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일본에서 유학한 역사학자와 또 이병도의 수제자, 그리고 그들의 제자들이 주류사학계로 있기 때문일 것이다. 치우천황(일명 도깨비=붉은악마)과 황웅은 물론 단군까지 샤마니즘으로 전락돼 있다. 중국이 치우천황을 자신들이 3대천황 중 하나라고 주장, 동북공정을 해도 아무 소리 못하고 있다. 환인 환웅 단군을 모시는 ‘3성당’은 각종 절의 가장 뒷곁에나 자리하고 있다. 산신각도 마찬가지다. 이병도는 죽기 전 친구인 최태영 박사 등의 설득으로 1986년 10월 9일자 조선일보에 단군은 실화라며 참회의 글을 지면 하나에 걸쳐 썼다.

그러나 그의 제자들은 ‘노망한 늙은이’로 치부했다. 그리고 우리는 지금도 일본이 만들어놓은 역사를 열심히 외우고 시험을 보고 있다. 

chang@data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