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초·중·고교의 물 관리가 엉터리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15일 교육인적자원부(www.moe.go.kr)에 따르면 각 학교에서 자체 실시한 올 1분기 정수기 수질검사 결과, 조사 대상 정수기 6만8,931개 가운데 6만5,851개(95.5%)가 1차 검사에서 적합 판정을 받았다. 부적합 정수기는 전체의 4.5%인 3,080개에 불과했던 것.
그러나 교육부가 3월 전국 16개 시·도 교육청을 통해 정수기 관리실태 특별점검을 실시한 결과 표본조사 대상 4,130개 중 적합판정을 받은 정수기는 2,454개로 59.4%에 그쳐 학교 자체조사 비율(95.5%)과 큰 차이가 나는 것으로 드러났다.
지역별 학교 자체검사 적합률 조사에서도 △서울 96.7% △대전 96.7% △전남 97.7% 으로 높게 조사됐지만 교육청 특별점검에서는 각각 ▲42.1% ▲40.0% ▲50.7%로 절반에도 못 미쳤다.
이처럼 조사결과에 차이가 나는 것을 두고 일각에서는 '학교 자체검사가 엉터리로 조작되는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교육부 학교체육보건급식과 조혜영 서기관은 "조작의혹에 대해서는 학교나 검사기관 모두 부인하고 있어 확인이 힘들다"며 "부실검사를 막기 위해 수질검사 때 교육청이나 학교 담당자가 직접 시료를 채수해 검사기관에 전달하도록 하는 등 보다 철저한 지침을 내리겠다"고 말했다.
[ⓒ데이터저널리즘의 중심 데이터뉴스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