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의약품이 2017년 생활계 유해폐기물로 지정된 이후에도 수거율이 약 10%에 그쳐 분리배출 문화 확산이 요구되고 있다.
4일 데이터뉴스가 환경재단의 ‘폐의약품 분리배출에 관한 인식·행동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최근 1년 내 폐의약품을 버린 경험이 있는 응답자 2264명 중 48.4%가 폐의약품을 일반 생활폐기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잘못 처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세히 살펴보면, 종량제 봉투(32.9%), 싱크대·변기(7.0%), 집에 계속 보관(4.9%), 재활용품 수거함(3.6%) 등으로 처리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 이유로는 ▲수거함 접근의 어려움(30.9%) ▲정확한 배출 방법에 대한 정보 부족(28.9%) ▲수거함 위치 안내 미흡(24.0%) 등이 지목됐다.
특히 ‘종량제 봉투에 버렸다’고 응답한 시민 중 일부는 지자체의 공식 안내에 따랐다고 답해 지역별로 상이한 처리 지침이 시민 혼란을 초래하고 있는 현실도 드러났다.
더불어 폐의약품 분리배출 제도에 대한 인식은 높지만 실제 이해는 부족한 '인지 착각' 현상도 확인됐다.
전체 응답자 4068명 중 93.8%(3818명)는 폐의약품을 분리배출해야 한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이 가운데 92.3%(3525명)는 구체적인 배출 방법까지 알고 있다고 답했다. 하지만 실제로 분리배출 대상(조제약, 일반의약품 등)을 정확히 이해한 응답자는 1948명(47.9%)에 그쳤다.
한편, 폐의약품 분리배출을 활성화하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의 제도적 기반과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책 과제로는 ▲수거함 확대 설치(34.8%) ▲인식 캠페인 강화(29.6%) ▲집 앞 또는 아파트 단지 내 수거함 설치(19.5%)가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다. 이 외에도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이나 지도 앱을 통해 수거함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면 이용하겠다는 응답이 88%, 올바른 배출을 인증하면 포인트를 제공하는 제도에 참여하겠다는 응답도 91%에 달해 디지털 기반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들은 ‘아파트 분리배출함 인근이나 생활 동선상 접근이 쉬운 장소에 수거함을 설치해야 한다’, ‘노인이나 장애인을 위한 맞춤형 교육이 필요하다’, ‘‘폐의약품의 날’을 지정해 공동 수거 캠페인을 하자’ 등 생활 밀착형 실천 아이디어를 제안하며 적극적인 참여 의지를 드러냈다.
박혜연 기자 phy@data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