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티움, ‘The NEXT in Implant Consensus’ 개최

bright implant 중심 디지털 임플란트 시스템 조명…미래 치과 진료의 새로운 기준 제시 기대

덴티움, ‘The NEXT in Implant Consensus’ 개최
글로벌 디지털 덴티스트리 기업 덴티움은 오는 27일 서울 코엑스 오디토리움에서 차세대 임플란트 치료 방향성과 디지털 기반 치료의 미래를 조망하는 ‘The NEXT in Implant Consensus’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덴티움이 제안하는 차세대 임플란트 치료 전략과 실제 임상 적용 사례를 공유하는 자리로, 자사의 주력 임플란트 시스템인 bright implant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수술은 Minimal하게, 보철은 Simple하게’를 슬로건으로 내세워, 보다 정밀하고 간결한 치료 접근법과 함께 최신 임상 솔루션을 선보일 예정이다.

덴티움에 따르면, bright implant는 협소한 치조골과 같이 시술이 어려운 부위에도 적용 가능한 Short & Narrow 콘셉트의 제품으로, 최소 침습 기반 수술을 통해 환자 부담을 줄이고 로딩 속도를 앞당길 수 있도록 설계됐다. 또 디지털 환경에 최적화된 구조로, 구강 스캐너와 디지털 가이드, CAD/CAM 시스템과의 완성도 높은 연동을 통해 수술부터 보철까지 전체 치료 과정을 간소화한다.

컨센서스는 총 세 개의 세션으로 구성되며, 각 세션은 bright implant의 다양한 임상 활용과 디지털 기술 접목 사례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덴티움, ‘The NEXT in Implant Consensus’ 개최
첫 번째 세션 ‘The NEXT in Implant’에서는 bright implant를 활용해 수술을 최소화하고 보철 로딩 시기를 앞당기는 진보된 임플란트 활용 전략이 소개된다. 

박병규 원장(서울필치과)이 ‘bright Implant를 이용한 발치와 치료 전략: ARP와 즉시 식립’을 주제로 발표하고, 정의원 교수(연세대 치대)가 ‘bright Tissue level narrow implant Ø3.5mm를 이용한 대구치 수복’을 통해 직경이 작지만 강력한 bright implant의 임상적 장점을 공유한다. 

이어 임상철 원장(미사웰치과)이 ‘마침내 내 임상으로 들어온 bright Implant BL & TL’을 발표하며 본레벨 임플란트와 티슈레벨 임플란트의 실제 적용 기준을 제시하고, 정성민 원장(덴티움치과)이 ‘The NEXT in Implant for Digital Minimalism’을 통해 디지털 기반 임플란트 치료의 패러다임 전환을 조망한다.

두 번째 세션 ‘The NEXT in Minimal Surgery’는 최소 침습 및 최소 골이식을 통한 수술 방법에 집중한다. 

변수환 교수(한림대 성심병원)가 ‘bright Implant와 함께라면 누구보다 빠르게, 남들과는 다르게!’를 주제로 빠르고 안정적인 치료 전략을 제시하며, 김성태 교수(서울대 치대)가 ‘Minimal graft Method application bright Implant’를 통해 최소한의 골이식으로 임플란트 수술이 가능한 임상 전략을 소개한다. 

이어 현영근 원장(페리오플란트치과)이 ‘bright implant × Pin Guide Surgery: 무절개, 최소절개 임플란트의 새로운 기준’을 통해 덴티움의 신제품 ‘Pin Guide Kit’를 활용한 수술 전략을 발표한다.

덴티움에 따르면, 이번 컨센서스를 통해 처음 공개되는 ‘Pin Guide Kit’는 잇몸 절개 없이도 얇은 치조골에서의 임플란트 식립이 가능한 무절개·최소절개 전용 수술 가이드 시스템이다. 디지털 가이드를 별도로 제작하지 않아도 얇은 치조골에서 정확한 임플란트 수술이 가능하게 돼 시간과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다. 

특히 bright implant와 연계해 정밀하고 간결한 수술 환경을 구현할 수 있으며, 핀의 위치와 깊이를 시술 부위에 따라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어 환자의 해부학적 조건에 최적화된 맞춤형 수술이 가능하다. 치조골이 얇거나 골이식이 어려운 케이스에서도 안정적인 시술이 가능하며, 수술 시간 단축, 출혈량 감소, 회복 속도 개선 등 임상 효율성 향상 측면에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세 번째 세션 ‘The NEXT in Digital Minimalism’은 디지털 기반 보철 전략의 완성도를 조명한다. 

원현두 원장(잠실이사랑치과)이 ‘Future Trends of Model-less’를 통해 최신 Model-less 보철 치료 흐름을 조망하고, 김하영 원장(우리들치과보철과치과)이 ‘IOS, 이렇게만 따라하면 나도 보철 마스터!’를 주제로 구강 스캐너 기반 실전 보철 제작법을 소개한다. 

이어 김종은 교수(연세대 치대)가 ‘Digital Guide를 활용한 임플란트 보철 핵심 Workflow’를, 김지환 교수(연세대 치대)의 ‘간단하면서도 예쁘게, 심미보철의 완성 (3 Layer-Block)’ 강연에서는 컬러링과 스테이닝 작업 없이도 심미성과 완성도를 구현할 수 있는 3 Layer-Block의 활용법을 소개한다. 단일 블록만으로 자연스러운 심미보철을 완성할 수 있어, 전체 작업 시간이 크게 단축되는 점이 주요 차별점으로 꼽힌다.

행사는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3시 50분까지 총 6시간 30분 동안 진행되며, 외부 전시를 통해 강연과 함께 관련 제품 및 신제품이 소개된다. 단순한 강연을 넘어 실제 임상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실용적 치료 전략을 공유하고 치과의사와의 소통을 강화하는 학술 교류의 장으로 기대를 모은다.

덴티움 관계자는 “이번 컨센서스는 차세대 임플란트 치료 전략을 제시하는 자리”라며, “진단부터 수술, 보철까지 전 과정을 아우르는 디지털 기반 진료 방향성을 공유하는 학술 교류의 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덴티움은 디지털 덴티스트리 시대를 선도하는 기업으로서, 치과 진료의 효율성을 높이는 솔루션을 가장 먼저 제시하고, 임상 현장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이끌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사전 등록 및 자세한 정보는 덴티움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강동식 기자 lavita@datanews.co.kr

[ⓒ데이터저널리즘의 중심 데이터뉴스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