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에 거주하는 27~39세(1983~1995년생)의 청년 세대 절반 이상이 미혼인 것으로 나타났다.
9일 데이터뉴스가 경기도에서 발표한 '경기도 청년세대 가족 형성통계'를 분석한 결과, 지난 2022년 경기도에 거주하는 1983~1995년생 233만6000명 중 56.7%가 미혼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통계청의 인구동태 코호트 데이터베이스(DB)를 활용한 전국 최초의 승인 통계다.
성별로는 남성의 미혼율이 64.5%로 여성(48.1%)보다 높게 나타났다.
30세 기준 미혼율은 2015년 61.6%에서 2022년 76.1%로 7년 사이 14.5%p 증가했다. 이는 특정 연령대에서 갑작스럽게 증가한 것이 아니라, 전반적으로 미혼율이 꾸준히 상승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출생신고서를 바탕으로 한 출산 현황에서는 2022년 기준 경기도 1983~1995년생 여성 중 자녀가 없는 비율이 60.2%에 달했다.
또한 결혼은 했지만 자녀를 낳지 않은 ‘기혼 무자녀 여성’ 비율도 24.3%로 나타났다.
같은 통계에 따르면 1983~1995년생 부모 중 2015년부터 2022년까지 육아휴직을 사용한 비율은 22.7%로 나타났다. 이는 육아휴직 제도가 일정 부분 활용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다만, 육아휴직 사용자 대부분이 여성이고, 대기업이나 공공부문 종사자의 사용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김민지 기자 honest@datanews.co.kr